2021.10.08 CONVERSATIONS

2021.10.08 CONVERSATIONS

이 현 수석기자
Hyun Yi
Senior Editor, Art in Culture

황석권 편집장
Sukkwon Hwang
Editor in Chief, Wolganmisool

정일주 편집장
Iljoo Jung
Editor in Chief, Public Art

2021.10.06 - 10.15 3 KOREAN ARTISTS

2021.10.06 - 10.15 3 KOREAN ARTISTS

<BJ 체리장 2018.4> 6분, 싱글채널 영상, 2018

귀를 찌르는 경고음으로 작품은 시작한다. 얼굴에 밀가루를 뒤집어쓴 듯 과도한 화장과 희한한 머리모양, 그 모든 것을 버금가는 옷차림의 여자는 대왕트래블 칭첸 투어의 현지 가이드로 일하는 나타샤이며 동시에 평화통일과 일등시민을 말하는 BJ 체리장이다. 지금 성행하는 1인 미디어 시대의 콘텐츠 제작 방식을 전유해, 작가 류성실은 현대사회의 한 단면을 6분 10초 정도에 초고도 압축, 전사한다.

이토록 별난 내용이 왜 우리 사회의 모습이냐고 반론을 제기하는 이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조금만 살피면 류성실의 영상에 등장하는 전쟁, 안보, 종교, 효도, 성, 관광, 죽음과 같은 키워드는 내가 속한 사회와 매스미디어 전반에 깔려있는 것들이다. 작가는 다만 그것을 더 불분명하고 가짜임이 노골적으로 드러나게 표현할 뿐이다. 확신에 찬 어조로 편향된 내용을 전달하는 TV 뉴스나 1인 유튜버들이 퍼트리는 카더라 사실과 류성실의 작품은 큰 틀에서 크게 다르지 않으며 다 같은 블랙코미디의 주체들이다.

불안과 가짜로 점철된 세상에서 가장 으뜸의 가짜를 노리는 BJ 체리장은 현대인이 관심 갖는 사안 중 어떤 것에도 맹렬하게 덤벼들 수 있다. 자기 맘대로 뻔뻔하게 거짓말을 늘어놓으며 있지도 않은 상황과 이론을 전달할 수 있으니 체리장의 래퍼토리는 그야말로 무궁구진하다. ‘적어도 3초간 작품에 시선이 머물게 하라’는 현대미술의 필수 니즈의 관점에서도 류성실의 BJ 체리장은 우위를 차지한다. 소위 ‘눈뽕’으로 시각을 압도하고 자극적인 음향으로 청각을 마비시키는 재주를, 작가가 분명히 터득하고 개발하기 때문이다. 상황이 이러하니 류성실과 체리장 조합이 향후 펼쳐낼 작품이 얼마나 광활한 스펙트럼을 지닐지 가늠할 수 없다.

작가 류성실은 ‘제19회 에르메스 재단 미술상 HERMÈ FOUNDATION MISSULSANG’ 최종 수상자로 “일종의 ‘1인 미디어 쇼’를 통해 예술과 비예술, 실제와 허구 등 기존의 이분법적 질서를 교란시키는 새로운 접근법을 보여준다. 그의 작품은 자신의 가족사와 동시대 한국의 정치-사회적 이슈들, 그리고 전통적 형태들을 날카로운 시선으로 조합하고 재구성하여, 지역성과 보편성을 모두 함축하는 작품세계를 구축해 왔다.”는 평을 받았다.

/ 정일주, 퍼블릭아트 편집장

<BJ Cherry Jang 2018.4> 6min, single channel video, 2018

The video begins with a screeching civil defense siren. a woman is seen on screen, with enough white powder on her to be a pastry chef. Her get-up is hyperbolic with excess makeup and gaudy hairstyle. The woman is Natasha, a local guide for the ⟨BigKing Travel Ching Chen Tour⟩, also known as BJ (broadcast jockey) Cherry Jang who speaks of peaceful reunification and first-class citizenry. The unique media artwork is the creation of artist Ryu Sungsil, who captured the content creation style of this contemporary era of personal media. She compresses and transposes its essence into a 6 minute 10 second video.

Some may disagree to such a bizarre presentation being a representation of our contemporary society. However, Ryu's works feature ideas and keywords such as war, nation-state security, filial piety, sex and gender, tourism, and other underlying concepts that underpin our society and mass media. What she does is merely remove the façade to flagrantly expose its abstractedly obscure and insincere nature. Ryu Sungsil's works are informed by the regrettable black comedy that are contemporary television broadcasts and online media platforms where news and rumors are interchangeable and biased.

As a voice on the stage of prejudice and bigotry, BJ Cherry Jang aspires to be the fakest of the fake, capable of fiercely rattling off to the masses whatever her interest engages her. BJ Cherry Jang's theories and reports on current events are completely unrestrained from reality or even shame. It allows her repertoire to be literally boundless and mind-boggling. Even in terms of contemporary art's essential requirement of "holding the gaze for three seconds or more," Ryu Sungsil's alter-ego BJ Cherry Jang meets the requirement with overwhelming ease. All this was possible because Ryu had an insightful grasp on ensnaring the audience with provocative visuals and ear-candy sound design. No doubt such an ability can be learned and developed - just like Ryu. Based on all of the above, we can only imagine the scope of spectral width of works presented by Ryu Sungsil and her alter-ego Cherry Jang.

Ryu Sungsil is the laureate of the 19th Hermès Foundation Missulsang, a biannual prize awarded to emerging Korean artists. "(The artist) presents a new approach to disrupt the existing dichotomy between art and non-art as well as reality and fiction through a kind of ‘one-person media show.’ She has built a world of art that implies both locality and universality by combining and reconstructing her family history, contemporary political-social issues in Korea, and traditional forms with her keen insight,” the jury said in a review.

/ Iljoo Jung, Chief Editor of Public Art

+ CV more Sungsil Ryu

<BJ 체리장 2018.4> 6분, 싱글채널 영상, 2018

귀를 찌르는 경고음으로 작품은 시작한다. 얼굴에 밀가루를 뒤집어쓴 듯 과도한 화장과 희한한 머리모양, 그 모든 것을 버금가는 옷차림의 여자는 대왕트래블 칭첸 투어의 현지 가이드로 일하는 나타샤이며 동시에 평화통일과 일등시민을 말하는 BJ 체리장이다. 지금 성행하는 1인 미디어 시대의 콘텐츠 제작 방식을 전유해, 작가 류성실은 현대사회의 한 단면을 6분 10초 정도에 초고도 압축, 전사한다.

이토록 별난 내용이 왜 우리 사회의 모습이냐고 반론을 제기하는 이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조금만 살피면 류성실의 영상에 등장하는 전쟁, 안보, 종교, 효도, 성, 관광, 죽음과 같은 키워드는 내가 속한 사회와 매스미디어 전반에 깔려있는 것들이다. 작가는 다만 그것을 더 불분명하고 가짜임이 노골적으로 드러나게 표현할 뿐이다. 확신에 찬 어조로 편향된 내용을 전달하는 TV 뉴스나 1인 유튜버들이 퍼트리는 카더라 사실과 류성실의 작품은 큰 틀에서 크게 다르지 않으며 다 같은 블랙코미디의 주체들이다.

불안과 가짜로 점철된 세상에서 가장 으뜸의 가짜를 노리는 BJ 체리장은 현대인이 관심 갖는 사안 중 어떤 것에도 맹렬하게 덤벼들 수 있다. 자기 맘대로 뻔뻔하게 거짓말을 늘어놓으며 있지도 않은 상황과 이론을 전달할 수 있으니 체리장의 래퍼토리는 그야말로 무궁구진하다. ‘적어도 3초간 작품에 시선이 머물게 하라’는 현대미술의 필수 니즈의 관점에서도 류성실의 BJ 체리장은 우위를 차지한다. 소위 ‘눈뽕’으로 시각을 압도하고 자극적인 음향으로 청각을 마비시키는 재주를, 작가가 분명히 터득하고 개발하기 때문이다. 상황이 이러하니 류성실과 체리장 조합이 향후 펼쳐낼 작품이 얼마나 광활한 스펙트럼을 지닐지 가늠할 수 없다.

작가 류성실은 ‘제19회 에르메스 재단 미술상 HERMÈ FOUNDATION MISSULSANG’ 최종 수상자로 “일종의 ‘1인 미디어 쇼’를 통해 예술과 비예술, 실제와 허구 등 기존의 이분법적 질서를 교란시키는 새로운 접근법을 보여준다. 그의 작품은 자신의 가족사와 동시대 한국의 정치-사회적 이슈들, 그리고 전통적 형태들을 날카로운 시선으로 조합하고 재구성하여, 지역성과 보편성을 모두 함축하는 작품세계를 구축해 왔다.”는 평을 받았다.

/ 정일주, 퍼블릭아트 편집장







<BJ Cherry Jang 2018.4> 6min, single channel video, 2018

The video begins with a screeching civil defense siren. a woman is seen on screen, with enough white powder on her to be a pastry chef. Her get-up is hyperbolic with excess makeup and gaudy hairstyle. The woman is Natasha, a local guide for the ⟨BigKing Travel Ching Chen Tour⟩, also known as BJ (broadcast jockey) Cherry Jang who speaks of peaceful reunification and first-class citizenry. The unique media artwork is the creation of artist Ryu Sungsil, who captured the content creation style of this contemporary era of personal media. She compresses and transposes its essence into a 6 minute 10 second video.

Some may disagree to such a bizarre presentation being a representation of our contemporary society. However, Ryu's works feature ideas and keywords such as war, nation-state security, filial piety, sex and gender, tourism, and other underlying concepts that underpin our society and mass media. What she does is merely remove the façade to flagrantly expose its abstractedly obscure and insincere nature. Ryu Sungsil's works are informed by the regrettable black comedy that are contemporary television broadcasts and online media platforms where news and rumors are interchangeable and biased.

As a voice on the stage of prejudice and bigotry, BJ Cherry Jang aspires to be the fakest of the fake, capable of fiercely rattling off to the masses whatever her interest engages her. BJ Cherry Jang's theories and reports on current events are completely unrestrained from reality or even shame. It allows her repertoire to be literally boundless and mind-boggling. Even in terms of contemporary art's essential requirement of "holding the gaze for three seconds or more," Ryu Sungsil's alter-ego BJ Cherry Jang meets the requirement with overwhelming ease. All this was possible because Ryu had an insightful grasp on ensnaring the audience with provocative visuals and ear-candy sound design. No doubt such an ability can be learned and developed - just like Ryu. Based on all of the above, we can only imagine the scope of spectral width of works presented by Ryu Sungsil and her alter-ego Cherry Jang.

Ryu Sungsil is the laureate of the 19th Hermès Foundation Missulsang, a biannual prize awarded to emerging Korean artists. "(The artist) presents a new approach to disrupt the existing dichotomy between art and non-art as well as reality and fiction through a kind of ‘one-person media show.’ She has built a world of art that implies both locality and universality by combining and reconstructing her family history, contemporary political-social issues in Korea, and traditional forms with her keen insight,” the jury said in a review.

/ Iljoo Jung, Chief Editor of Public Art

+ CV more Sungsil Ryu

2021.10.06 - 10.15 3 KOREAN ARTISTS

2021.10.06 - 10.15 3 KOREAN ARTISTS

작가 추천에 두 가지 기준을 세웠다. 먼저 작가가 ‘글로벌 의식’을 얼마나 인지하고 있는가. 그리고 만약 인지한다면 어떤 관점에서 ‘연대’를 제시하는가. 이 기준에서 염지혜 작가를 떠올렸다. 여타의 많은 작가가 그렇듯, 그 역시 활동 초기에는 ‘We’보다 ‘Me’의 시각에서 작업을 출발했다. 가나, 팔레스타인, 브라질 등에서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지내며 각 지역을 탐사하고 그곳에서 얻은 경험을 작업에 풀어내곤 했는데, 이때는 그의 개인적인 서사가 중요했다.

그러나 2015년 아트선재프로젝트스페이스 개인전을 기점으로 이 ‘Me’가 ‘We’로 점차 확장했다. 타인의 존재, 우리를 둘러싼 환경이나 고대 신화까지 폭넓게 접근했고, 2018년 대구미술관 개인전에서는 『총, 균, 쇠』를 바탕 삼아 동시대 관점으로 인류 문명을 반추하는 실험까지 시도한다. 이 개인전 제목은 <모든 관점 볼텍스>였는데,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에 나오는 고문 기계에서 착안했다. 사람이 기계에 들어가면 눈앞에 방대한 우주가 펼쳐지면서 내가 우주에서 얼마나 하찮은 존재인지 자각하고 미치게 된다는 허구의 장치다. 이제까지 개인 서사로 작업하던 작가가 시야를 확장하면서 느낀 막막함을 암시한다고 읽혔다. 그의 작업에서 ‘연대’의 키워드는 <에이아이 옥토퍼스>에 잘 드러난다. 작가는 무척추동물 중에서 지능이 가장 높다는 문어를 화자로 설정하고 인공 지능을 대체할 존재로 ‘문공지능’을 상상하면서 인간 문명을 반성한다. 영상 말미에 우주를 배경으로 강강술래를 추는 신체가 나오는데, 앞선 키워드와 연결해보면 광활한 우주에서 무력감을 느끼고 미쳤던 인간이 이제는 다른 종을 포용하고 그들과 춤추면서 텅 빈 우주를 너와 나의 관계로 가득 채우는 것이다.

<에이아이 옥토퍼스>는 인간 중심 시각에서 벗어나 문어를 재조명한다. 우리는 문어를 식용 대상으로 소비하지만, 과학계에서는 신비로운 연구 대상이다. 뇌뿐만 아니라 다리에도 뉴런이 분포해 있어서 어떤 상황을 인지할 때 여덟 개의 다리가 각각 독립적으로 사고하면서 지능이 높게 발달했다는 것이다. 작가는 인간이 갖지 못한 능력을 보유한 문어를 주인공 삼아 이성 중심의 문명이 그동안 얼마나 많은 생태와 관계를 파괴해왔는지 반성한다. 그의 문공지능은 더 빠른 미래가 아니라 더 나은 미래를 상상하는 인공지능의 대안이다.

염지혜의 여러 작업에는 신체가 자주 등장한다. 특히 확대된 눈과 뒤집힌 시야, 춤추는 몸이 공통으로 발견된다. 미디어아트는 빠르게 발전하는 최첨단 기술과 밀접한 매체이자 그 최전선에 있는 기술이다. 그리고 기술은 신체를 대신하는 역할을 수행해왔다. 내가 침대에 누워만 있어도 핸드폰 하나면 에어컨 버튼이 눌리고, 식기세척기가 돌아가고, 가스 밸브가 잠긴다. 신체가 먼 곳까지 간편하게 연장되면서 기술이 신체를 대체하는 것이다. 하지만 작가는 그렇게 기술과 밀접한 매체로 오히려 인간 몸이란 무엇인지, 지금의 몸으로 무엇을 더 할 수 있는지 질문을 던진다. 그의 어떤 작품들은 화면이 180°로 뒤집혀서 나온다. 강이 있는 자리에 하늘이 있고, 하늘 자리에 강이 흐른다. 그 시야랑 연결된 신체를 떠올리면 사람 머리가 180°로 뒤집힌 상태인 것이다. 우리는 항상 정신 차리고 앞을 똑바로 봐야 한다고 주입받는데, 작가는 오히려 뒤집힌 시야로 되묻는다. 정신 똑바로 차리고 21세기까지 쉼 없이 달려왔더니, 그 결과가 너무 파국이고 서로를 혐오하고 적대시하지 않는가. 우리가 평소에 가만히 서 있으면 자각하지 못하는 문제를 물구나무서기해 새로운 관점에서 보는 것처럼, 염지혜는 AI나 사이보그가 아니라 현재 우리 몸을 어떻게 긍정하고 새로운 미래를 그려 나갈 수 있을지 고민한다.

/이 현, 아트인컬처 수석기자

Artist recommendation was based on two criteria. How globally conscious and informed is the artist? And if the artist is informed, from what perspective does the artist propose solidarity? Yeom Ji Hye was the artist that came to mind based on those two criteria. As most artists do, early years are more introspective and Me oriented rather than We based. During her art residencies in Ghana, Palestine, and Brazil, she included experiences gained locally into her works; personal narrative was important at the time.

As her 2015 solo exhibition at Art Sonje Center Art Space as a juncture, her horizons limited to Me began to sprawl into We. She explored broader themes on the existent other, u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even ancient mythologies. In 2018, her solo exhibition at the Daegu Art Museum based on Guns, Germs, and Steel by Jared Diamon reflected upon contemporary civilization. The solo exhibition was titled ⟨Total Perspective Vortex⟩, borrowed from the torture device in The Hitchhiker's Guide To The Galaxy by Douglas Adams. The Total Perspective Vortex, in the fictional world of Adams's book, is the most horrible torture device a sentient being can be subjected to. It shows its victim the entire unimaginable infinity of the universe and the perspective of the individual's puny existence. it is a not-so-subtle allusion to the artist's vastly and somewhat forlorn existence against a rapidly expanding perspective and retrospective on her earlier works focused selfward.

Solidarity as a keyword is notably present in ⟨AI Octopus⟩ (2020). Octopii are said to be the most intelligent invertebrates. By positioning an octopus as a narrator and the future replacement for AI, the artist imagines an Octoficial Intelligence that raises pertinent questions about human civilization. Toward the end of the video, a body appears, dancing to the Ganggangsullae (ancient Korean dance under the first or last full moon of the Lunar Year, to wish for or give thanks for a bountiful harvest) against the backdrop of space. Considering the previous keywords, an agricultural society fully dependent on the seemingly boundless and arbitrary existence of the heavens and space needed to find a way to embrace it and dance with it; to establish some sort of relationship with it; a you and I, me and we.

⟨AI Octopus⟩ breaks away from the anthropocentric perspective to reexamine the octopus. For Koreans, octopii are merely food, but in the scientific community, they are subjects of great mystery and study. They have neurons distributed all around its tentacles and not just its brain, so each of the eight legs are capable of well-developed independent thought and decision-making under a perceived circumstance. Yeom established an octopus as the protagonist to focus on its super-human abilities and to reflect on how our anthropocentric civilization has damaged our ecosystem and our relationship to it. In this story, Octificial Intelligence is not for a faster-stronger future, but a better future together. It is the alternative to anthropocentric artificial intelligence.

Yeom Ji Hye's works often feature parts of the body. Extreme close-up shots of the eye, inverted field of view, and the dancing body are frequently found in her works. Media art is a medium directly relevant to rapidly advancing technologies, and in many ways at its forefront. Technology has a tendency to augment, enhance, or replace certain physical functions or physical parts of the human body. With technology, one can lie in bed and simply tap the smartphone screen to control the air conditioner, operate the dishwasher, and switch off the gas valve in the kitchen. It is an extension of the body, without the body having to be present to perform its action. Technology augments, and in some sense replaces. Yeom turns this concept on its head to inversely explore through technology, what the human body is, and what the body can do more of. Some of works invert the screen 180° degrees. The sky is where the river should be, and the river flows where the sky should be. Envision a human physiology where this would be normal, and you have a head that is attached 180° upside-down. We are told to stay sharp and keep both eyes open, but the artist chooses to subvert her vision, and casts this question: we were staying sharp and vigilant, straight into this fiasco we call 21st century. The result has been catastrophic, and we can't loathe and antagonize one another enough. Just as we choose to see things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 sometimes from a moving point of view, and sometimes from a reversed or subverted point of view - Yeom subverts the common understanding that technology, namely AI and cybernetics, is augmented upon the body. She explores ways to affirm our physicality, our bodily form, and to see what meaningfulness it can find in the future.

/Hyun Yi, Senior Editor of Art in Culture

+ CV more Jihye Yeom

작가 추천에 두 가지 기준을 세웠다. 먼저 작가가 ‘글로벌 의식’을 얼마나 인지하고 있는가. 그리고 만약 인지한다면 어떤 관점에서 ‘연대’를 제시하는가. 이 기준에서 염지혜 작가를 떠올렸다. 여타의 많은 작가가 그렇듯, 그 역시 활동 초기에는 ‘We’보다 ‘Me’의 시각에서 작업을 출발했다. 가나, 팔레스타인, 브라질 등에서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지내며 각 지역을 탐사하고 그곳에서 얻은 경험을 작업에 풀어내곤 했는데, 이때는 그의 개인적인 서사가 중요했다.

그러나 2015년 아트선재프로젝트스페이스 개인전을 기점으로 이 ‘Me’가 ‘We’로 점차 확장했다. 타인의 존재, 우리를 둘러싼 환경이나 고대 신화까지 폭넓게 접근했고, 2018년 대구미술관 개인전에서는 『총, 균, 쇠』를 바탕 삼아 동시대 관점으로 인류 문명을 반추하는 실험까지 시도한다. 이 개인전 제목은 <모든 관점 볼텍스>였는데,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에 나오는 고문 기계에서 착안했다. 사람이 기계에 들어가면 눈앞에 방대한 우주가 펼쳐지면서 내가 우주에서 얼마나 하찮은 존재인지 자각하고 미치게 된다는 허구의 장치다. 이제까지 개인 서사로 작업하던 작가가 시야를 확장하면서 느낀 막막함을 암시한다고 읽혔다. 그의 작업에서 ‘연대’의 키워드는 <에이아이 옥토퍼스>에 잘 드러난다. 작가는 무척추동물 중에서 지능이 가장 높다는 문어를 화자로 설정하고 인공 지능을 대체할 존재로 ‘문공지능’을 상상하면서 인간 문명을 반성한다. 영상 말미에 우주를 배경으로 강강술래를 추는 신체가 나오는데, 앞선 키워드와 연결해보면 광활한 우주에서 무력감을 느끼고 미쳤던 인간이 이제는 다른 종을 포용하고 그들과 춤추면서 텅 빈 우주를 너와 나의 관계로 가득 채우는 것이다.

<에이아이 옥토퍼스>는 인간 중심 시각에서 벗어나 문어를 재조명한다. 우리는 문어를 식용 대상으로 소비하지만, 과학계에서는 신비로운 연구 대상이다. 뇌뿐만 아니라 다리에도 뉴런이 분포해 있어서 어떤 상황을 인지할 때 여덟 개의 다리가 각각 독립적으로 사고하면서 지능이 높게 발달했다는 것이다. 작가는 인간이 갖지 못한 능력을 보유한 문어를 주인공 삼아 이성 중심의 문명이 그동안 얼마나 많은 생태와 관계를 파괴해왔는지 반성한다. 그의 문공지능은 더 빠른 미래가 아니라 더 나은 미래를 상상하는 인공지능의 대안이다.

염지혜의 여러 작업에는 신체가 자주 등장한다. 특히 확대된 눈과 뒤집힌 시야, 춤추는 몸이 공통으로 발견된다. 미디어아트는 빠르게 발전하는 최첨단 기술과 밀접한 매체이자 그 최전선에 있는 기술이다. 그리고 기술은 신체를 대신하는 역할을 수행해왔다. 내가 침대에 누워만 있어도 핸드폰 하나면 에어컨 버튼이 눌리고, 식기세척기가 돌아가고, 가스 밸브가 잠긴다. 신체가 먼 곳까지 간편하게 연장되면서 기술이 신체를 대체하는 것이다. 하지만 작가는 그렇게 기술과 밀접한 매체로 오히려 인간 몸이란 무엇인지, 지금의 몸으로 무엇을 더 할 수 있는지 질문을 던진다. 그의 어떤 작품들은 화면이 180°로 뒤집혀서 나온다. 강이 있는 자리에 하늘이 있고, 하늘 자리에 강이 흐른다. 그 시야랑 연결된 신체를 떠올리면 사람 머리가 180°로 뒤집힌 상태인 것이다. 우리는 항상 정신 차리고 앞을 똑바로 봐야 한다고 주입받는데, 작가는 오히려 뒤집힌 시야로 되묻는다. 정신 똑바로 차리고 21세기까지 쉼 없이 달려왔더니, 그 결과가 너무 파국이고 서로를 혐오하고 적대시하지 않는가. 우리가 평소에 가만히 서 있으면 자각하지 못하는 문제를 물구나무서기해 새로운 관점에서 보는 것처럼, 염지혜는 AI나 사이보그가 아니라 현재 우리 몸을 어떻게 긍정하고 새로운 미래를 그려 나갈 수 있을지 고민한다.

/이 현, 아트인컬처 수석기자







Artist recommendation was based on two criteria. How globally conscious and informed is the artist? And if the artist is informed, from what perspective does the artist propose solidarity? Yeom Ji Hye was the artist that came to mind based on those two criteria. As most artists do, early years are more introspective and Me oriented rather than We based. During her art residencies in Ghana, Palestine, and Brazil, she included experiences gained locally into her works; personal narrative was important at the time.

As her 2015 solo exhibition at Art Sonje Center Art Space as a juncture, her horizons limited to Me began to sprawl into We. She explored broader themes on the existent other, u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even ancient mythologies. In 2018, her solo exhibition at the Daegu Art Museum based on Guns, Germs, and Steel by Jared Diamon reflected upon contemporary civilization. The solo exhibition was titled ⟨Total Perspective Vortex⟩, borrowed from the torture device in The Hitchhiker's Guide To The Galaxy by Douglas Adams. The Total Perspective Vortex, in the fictional world of Adams's book, is the most horrible torture device a sentient being can be subjected to. It shows its victim the entire unimaginable infinity of the universe and the perspective of the individual's puny existence. it is a not-so-subtle allusion to the artist's vastly and somewhat forlorn existence against a rapidly expanding perspective and retrospective on her earlier works focused selfward.

Solidarity as a keyword is notably present in ⟨AI Octopus⟩ (2020). Octopii are said to be the most intelligent invertebrates. By positioning an octopus as a narrator and the future replacement for AI, the artist imagines an Octoficial Intelligence that raises pertinent questions about human civilization. Toward the end of the video, a body appears, dancing to the Ganggangsullae (ancient Korean dance under the first or last full moon of the Lunar Year, to wish for or give thanks for a bountiful harvest) against the backdrop of space. Considering the previous keywords, an agricultural society fully dependent on the seemingly boundless and arbitrary existence of the heavens and space needed to find a way to embrace it and dance with it; to establish some sort of relationship with it; a you and I, me and we.

⟨AI Octopus⟩ breaks away from the anthropocentric perspective to reexamine the octopus. For Koreans, octopii are merely food, but in the scientific community, they are subjects of great mystery and study. They have neurons distributed all around its tentacles and not just its brain, so each of the eight legs are capable of well-developed independent thought and decision-making under a perceived circumstance. Yeom established an octopus as the protagonist to focus on its super-human abilities and to reflect on how our anthropocentric civilization has damaged our ecosystem and our relationship to it. In this story, Octificial Intelligence is not for a faster-stronger future, but a better future together. It is the alternative to anthropocentric artificial intelligence.

Yeom Ji Hye's works often feature parts of the body. Extreme close-up shots of the eye, inverted field of view, and the dancing body are frequently found in her works. Media art is a medium directly relevant to rapidly advancing technologies, and in many ways at its forefront. Technology has a tendency to augment, enhance, or replace certain physical functions or physical parts of the human body. With technology, one can lie in bed and simply tap the smartphone screen to control the air conditioner, operate the dishwasher, and switch off the gas valve in the kitchen. It is an extension of the body, without the body having to be present to perform its action. Technology augments, and in some sense replaces. Yeom turns this concept on its head to inversely explore through technology, what the human body is, and what the body can do more of. Some of works invert the screen 180° degrees. The sky is where the river should be, and the river flows where the sky should be. Envision a human physiology where this would be normal, and you have a head that is attached 180° upside-down. We are told to stay sharp and keep both eyes open, but the artist chooses to subvert her vision, and casts this question: we were staying sharp and vigilant, straight into this fiasco we call 21st century. The result has been catastrophic, and we can't loathe and antagonize one another enough. Just as we choose to see things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 sometimes from a moving point of view, and sometimes from a reversed or subverted point of view - Yeom subverts the common understanding that technology, namely AI and cybernetics, is augmented upon the body. She explores ways to affirm our physicality, our bodily form, and to see what meaningfulness it can find in the future.

/Hyun Yi, Senior Editor of Art in Culture



+ CV more Jihye Yeom

2021.10.06 - 10.15 3 KOREAN ARTISTS

2021.10.06 - 10.15 3 KOREAN ARTISTS

“차재민은 그 동안 도시개발, 개발현장, 도시인의 욕망과 소외, 집단 시위, 억압 등 현대사회의 징후들을 상징적으로 풀어내는 영상작업을 선보여 왔다.”

차재민을 소개하는 문장만 놓고 본다면 그는 영락없는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는 작가다. 그러나 그의 작업은 다큐멘터리적인 요소를 포함하는 정도다. 작가가 취하는 주제도 그러하거니와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 작업 방식도 영락없다. 또한 좀처럼 관람객의 의지에 동의하거나 동조하려는 시늉조차 하지 않는다. 도무지 작가의 의도가 감지되지 대단히 건조한 분위기의 작업은 되도록 제작자의 흔적을 남기지 않겠다는 일종의 단호한 의지, 심지어 선언으로 읽힌다. 주제에 접근하는 방식이 있는 그대로를 보여주어 사건에 집중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근원적인 내용을 전달하려 한다. 그래서일까? 그의 작업을 대하면 마지막 반전을 기대하는 관람객처럼 항상 결말이 매우 궁금해진다. 관람객의 시선과 동등한 높이의 작업이면서 억지가 없고 집요하되 무리가 없으며 묵직한 주제를 강요하면서 당연하다고 비난하지 않는다. 그래서 차재민의 작업을 보면 오늘과 내일, 그리고 모레 시간의 흐름만 존재하는 냉정함이 보이기도 한다. 말 그대로 찔러서 피 한 방울 안나올 것 같다는 실제의 예랄까? 그리고 차재민의 작업이 갖는 이러한 힘이 치밀하고 방대하여 연구에 가까운, 아니 차라리 연구라고 해도 무방한 리서치에 근거한다는 점도 소름 돋는다. 그것은 마치 현상의 ‘본질’을 탐구하는 접근방식과 태도를 방불케 하는데 이로써 그의 작업은 오류를 배척하고 감각으로 받아들여진 상황을 진실로 진실이라 믿게 한다.

이런 맥락에서 차재민의 〈앨리의 눈〉(2020)을 살펴보자. 이 작업에서 엘리는 중의적인 의미다. 영상에 등장하는 개의 이름이기도 하면서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가상의 심리상담사이다. 차재민의 작업의 특징이기도 한 파운드 푸티지(found footage)와 실제 촬영한 영상을 교차하여 편집한 영상으로 집요한 관찰 혹은 취재의 과정을 그 바탕에 깔고 있다.

〈앨리의 눈〉에 대한 작가의 설명을 요약하자면 이 영상은 치료 목적으로 고안된 기술들이 인간의 투시 욕망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X-레이, 벽 투시, 인공지능 상담 기술을 보여준다. 이미 관람자의 인식 수준에서 보편화되었거나 최신의 기술로 받아들여진 것들이다. 또한 미래 비약적인 기술의 발전을 통해 지금보다 진일보한 양상으로 인류에 도움을 줄 것으로 신뢰받는 기술이기도 하다. 작가가 초점 맞춘 지점은 인간마다 각각 다른 ‘심리’라는 중한 가치이자 수치화할 수 없어 가늠조차 할 수 없는 대상이 사물화 되어 앞서 말한 기술의 적용을 받고 치료라는 일반화된 과정에 아무렇지 않게, 너무나 시뮬레이션 되어 놓이는 비정한 지금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앨리의 눈〉은 눈, 시선, 바라본다는 시각 감각에 관계된 일련의 탐구가 인류의 정신의 문제와 어떻게 연관되어 있고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준다. 마치 과학 다큐멘터리를 시청하는 느낌이 드는데 ‘그럴듯한’ 픽션으로 다가오는 것이 아니라 정말 저렇구나라고 믿게 만드는 묘한 매력이 있다.

〈앨리의 눈〉은 고도의 기술발전 환경에서 점차 인류가 스스로의 미지 혹은 무지의 영역을 점령하려는 욕망에 대한 일종의 제동장치를 설치하려는 것에 다름 아니라고 본다. 어둠을 밝히려는 시도가 인류에게 부정적인 상황만을 야기하지는 않을텐데 작가는 왜 이러한 시도를 하는 것일까? 답은 작가의 이 말에 있지 않나 싶다.

“취재를 거치며 가장 많이 느끼는 변화는 내 자신이다. 다르게 질문해볼 수 있는 계기를 가지는 것, 내가 머물러 있지 않고 자신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

/ 황석권, 월간미술 편집장

"Cha Jeamin has presented video works that metaphorically prognosticate humanity's future through symptoms found in contemporary, be it in urban development,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sites, the urban desires and marginalization, mass or populist protests, and oppression."

On paper, this introduction for Cha Jeamin puts her into the category of documentarist. Yet she remains an artist who merely draws from necessary aspects of the documentary medium and genre. The artist gravitates towards such themes, and her style of working without revealing himself is true to her artistry. In fact, she seldom bends to the will of the spectator nor does she show any hint of sympathy. Her works are so desiccated of the creative intention that some identify that lack thereof as a message of resolute pledge or dedication to leaving no such trace. Rather than drawing in the viewer by presenting what happened under what theme, she seeks to convey something more fundamental; archetypal. Perhaps that is why viewing her works result in a cliff-hanger like curiosity of what happens next and how it all concludes. Her artworks meet the audience eye-to-eye; it is relentless without burden, pressing and tenacious in its ponderous topic without being presumptuous. As such, Cha's works embody a certain cool-headed composition where only the time-sequence of today-tomorrow-overmorrow exist. For some, the composition may be frigid. In fact, her works are so well structured and far-reaching that they might as well be research projects that explore the proto-knowledge of phenomenology. Through this mechano-approach she removes errors and presents a situation as credible truth.

Consider Cha's 〈Ellie's Eyes〉(2020) in that context. in it, the significance of Ellie is ambiguous, ambivalent. Ellie is the name of the dog in the video, and also the name of the AI-based virtual psychological counselor. A recurring method and method in Cha's works, found footage and filmed footage are spliced together to convey the process of persistent observation or coverage.

〈Ellie's Eyes〉 presents X-ray, transparent walls, and AI- based counseling to explore the connection between technologies developed for therapeutic purposes and human desire or fetishizing penetrative transparency, or "see-through." All the technologies involved have become mundane and commonplace for the spectator or simply accepted as cutting-edge advancements. Either that, or they are technologies trusted to take humanity to the next stage of advancements. Psychology, an idiosyncratic concept that is central to every individual yet infinitely difficult to quantify or tangibly represent has been iconized, objectified as the subject of an algorithmic technology and put on the figurative conveyor belt of so-called therapy and healing. The artist focuses on this nonchalantly jarring simulated reality.

The exploration of the eyes, gaze, and the visual sensation of sight in 〈Ellie's Eyes〉 connects to the problems of humanity's mind. The video has a peculiar charm in presenting as a science documentary, not as realistic fiction, but as a fact-seeking documentary.

〈Ellie's Eyes〉 is like a damper brake on humanity's obsession with conquering the unknown and even the unknowable with all tools and technology available. Casting light into darkness ought to be of greater benefit to humanity than not; to what end is the artist performing as a luddite? The answer might be in her statement.

"Interviews over time reveal change. The greatest change I find is in myself. They are opportunities to ask different question, and to keep moving and changing to change who I am, to who I can be."

/ Sukkwon Hwang, Chief Editor of Wolganmisool

+ CV more Jeamin Cha

“차재민은 그 동안 도시개발, 개발현장, 도시인의 욕망과 소외, 집단 시위, 억압 등 현대사회의 징후들을 상징적으로 풀어내는 영상작업을 선보여 왔다.”

차재민을 소개하는 문장만 놓고 본다면 그는 영락없는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는 작가다. 그러나 그의 작업은 다큐멘터리적인 요소를 포함하는 정도다. 작가가 취하는 주제도 그러하거니와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 작업 방식도 영락없다. 또한 좀처럼 관람객의 의지에 동의하거나 동조하려는 시늉조차 하지 않는다. 도무지 작가의 의도가 감지되지 대단히 건조한 분위기의 작업은 되도록 제작자의 흔적을 남기지 않겠다는 일종의 단호한 의지, 심지어 선언으로 읽힌다. 주제에 접근하는 방식이 있는 그대로를 보여주어 사건에 집중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근원적인 내용을 전달하려 한다. 그래서일까? 그의 작업을 대하면 마지막 반전을 기대하는 관람객처럼 항상 결말이 매우 궁금해진다. 관람객의 시선과 동등한 높이의 작업이면서 억지가 없고 집요하되 무리가 없으며 묵직한 주제를 강요하면서 당연하다고 비난하지 않는다. 그래서 차재민의 작업을 보면 오늘과 내일, 그리고 모레 시간의 흐름만 존재하는 냉정함이 보이기도 한다. 말 그대로 찔러서 피 한 방울 안나올 것 같다는 실제의 예랄까? 그리고 차재민의 작업이 갖는 이러한 힘이 치밀하고 방대하여 연구에 가까운, 아니 차라리 연구라고 해도 무방한 리서치에 근거한다는 점도 소름 돋는다. 그것은 마치 현상의 ‘본질’을 탐구하는 접근방식과 태도를 방불케 하는데 이로써 그의 작업은 오류를 배척하고 감각으로 받아들여진 상황을 진실로 진실이라 믿게 한다.

이런 맥락에서 차재민의 〈앨리의 눈〉(2020)을 살펴보자. 이 작업에서 엘리는 중의적인 의미다. 영상에 등장하는 개의 이름이기도 하면서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가상의 심리상담사이다. 차재민의 작업의 특징이기도 한 파운드 푸티지(found footage)와 실제 촬영한 영상을 교차하여 편집한 영상으로 집요한 관찰 혹은 취재의 과정을 그 바탕에 깔고 있다.

〈앨리의 눈〉에 대한 작가의 설명을 요약하자면 이 영상은 치료 목적으로 고안된 기술들이 인간의 투시 욕망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X-레이, 벽 투시, 인공지능 상담 기술을 보여준다. 이미 관람자의 인식 수준에서 보편화되었거나 최신의 기술로 받아들여진 것들이다. 또한 미래 비약적인 기술의 발전을 통해 지금보다 진일보한 양상으로 인류에 도움을 줄 것으로 신뢰받는 기술이기도 하다. 작가가 초점 맞춘 지점은 인간마다 각각 다른 ‘심리’라는 중한 가치이자 수치화할 수 없어 가늠조차 할 수 없는 대상이 사물화 되어 앞서 말한 기술의 적용을 받고 치료라는 일반화된 과정에 아무렇지 않게, 너무나 시뮬레이션 되어 놓이는 비정한 지금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앨리의 눈〉은 눈, 시선, 바라본다는 시각 감각에 관계된 일련의 탐구가 인류의 정신의 문제와 어떻게 연관되어 있고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준다. 마치 과학 다큐멘터리를 시청하는 느낌이 드는데 ‘그럴듯한’ 픽션으로 다가오는 것이 아니라 정말 저렇구나라고 믿게 만드는 묘한 매력이 있다.

〈앨리의 눈〉은 고도의 기술발전 환경에서 점차 인류가 스스로의 미지 혹은 무지의 영역을 점령하려는 욕망에 대한 일종의 제동장치를 설치하려는 것에 다름 아니라고 본다. 어둠을 밝히려는 시도가 인류에게 부정적인 상황만을 야기하지는 않을텐데 작가는 왜 이러한 시도를 하는 것일까? 답은 작가의 이 말에 있지 않나 싶다.

“취재를 거치며 가장 많이 느끼는 변화는 내 자신이다. 다르게 질문해볼 수 있는 계기를 가지는 것, 내가 머물러 있지 않고 자신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

/ 황석권, 월간미술 편집장







"Cha Jeamin has presented video works that metaphorically prognosticate humanity's future through symptoms found in contemporary, be it in urban development,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sites, the urban desires and marginalization, mass or populist protests, and oppression."

On paper, this introduction for Cha Jeamin puts her into the category of documentarist. Yet she remains an artist who merely draws from necessary aspects of the documentary medium and genre. The artist gravitates towards such themes, and her style of working without revealing himself is true to her artistry. In fact, she seldom bends to the will of the spectator nor does she show any hint of sympathy. Her works are so desiccated of the creative intention that some identify that lack thereof as a message of resolute pledge or dedication to leaving no such trace. Rather than drawing in the viewer by presenting what happened under what theme, she seeks to convey something more fundamental; archetypal. Perhaps that is why viewing her works result in a cliff-hanger like curiosity of what happens next and how it all concludes. Her artworks meet the audience eye-to-eye; it is relentless without burden, pressing and tenacious in its ponderous topic without being presumptuous. As such, Cha's works embody a certain cool-headed composition where only the time-sequence of today-tomorrow-overmorrow exist. For some, the composition may be frigid. In fact, her works are so well structured and far-reaching that they might as well be research projects that explore the proto-knowledge of phenomenology. Through this mechano-approach she removes errors and presents a situation as credible truth.

Consider Cha's 〈Ellie's Eyes〉(2020) in that context. in it, the significance of Ellie is ambiguous, ambivalent. Ellie is the name of the dog in the video, and also the name of the AI-based virtual psychological counselor. A recurring method and method in Cha's works, found footage and filmed footage are spliced together to convey the process of persistent observation or coverage.

〈Ellie's Eyes〉 presents X-ray, transparent walls, and AI- based counseling to explore the connection between technologies developed for therapeutic purposes and human desire or fetishizing penetrative transparency, or "see-through." All the technologies involved have become mundane and commonplace for the spectator or simply accepted as cutting-edge advancements. Either that, or they are technologies trusted to take humanity to the next stage of advancements. Psychology, an idiosyncratic concept that is central to every individual yet infinitely difficult to quantify or tangibly represent has been iconized, objectified as the subject of an algorithmic technology and put on the figurative conveyor belt of so-called therapy and healing. The artist focuses on this nonchalantly jarring simulated reality.

The exploration of the eyes, gaze, and the visual sensation of sight in 〈Ellie's Eyes〉 connects to the problems of humanity's mind. The video has a peculiar charm in presenting as a science documentary, not as realistic fiction, but as a fact-seeking documentary.

〈Ellie's Eyes〉 is like a damper brake on humanity's obsession with conquering the unknown and even the unknowable with all tools and technology available. Casting light into darkness ought to be of greater benefit to humanity than not; to what end is the artist performing as a luddite? The answer might be in her statement.

"Interviews over time reveal change. The greatest change I find is in myself. They are opportunities to ask different question, and to keep moving and changing to change who I am, to who I can be."

/ Sukkwon Hwang, Chief Editor of Wolganmisool

+ CV more Jeamin Cha

2021.10.11 5 GLOBAL CURATORS

2021.10.11 5 GLOBAL CURATORS

도 반 호앙(Đỗ Văn Hoàng)의 영화
〈수습 기간 (Probationary Period)〉(2021)의 10분 편집본


도 반 호앙(Đỗ Văn Hoàng)의 단편 영화가 시작되며 두 남자 주인공이 서로를 끔찍하게 살해한다. 걷고, 앉고, 서고, 사다리를 오르고, 뒤에서 서로를 찌르는 둘의 모습은 설명 불가해 보이며 잔혹하다. 구체적이고 반복적인 악의 퍼포먼스 무대에서 공연하듯 그들은 서고, 쓰러지고, 죽고, 다시 나타난다. 그들은 그들 자신의 존재에 대해 이해하기 어려운 인내를 보여준다. 영상 속 도시는 젊은이들이 갇혀버린 비좁은 골목과 모퉁이로 이루어진 미로로 표현됐다. 작업복을 착용한 노동자들은 생산과 소비라는 행위를 실천하는 인간을 기념하는 행진을 하듯 함께 걷는다. 영상에는 길거리에 서 있는 여성도 한 명 등장하는데 그녀는 가만히 서 있지 않는다. 뒤를 돌아본다. 〈수습 기간〉은 2021년, 코로나19가 호치민에서 다시 유행하기 몇 달 전 촬영 및 몽타주 편집되었다. 장편 영화와 달리 본 단편작에는 대사나 대화가 없다.







ĐỖ VĂN HOÀNG’s 10minutes short cut
from his film PROBATIONARY 2021


The male protagonists kill each other violently as Đỗ Văn Hoàng’s short film begins. They appear unexplainable and brutal in their walking, sitting, standing, climbing up the stairs, and stabbing each other from behind. They stand and collapse, die and reappear as though in a precise and iterated  performance stage of cruelty. They carry an absurd endurance of their being. Indeed, the city is filmed as a labyrinth of narrow lanes and corners where the young men got trapped. The workers in their uniforms walk together as though in a march celebrating human species who produce and consume. There is also a girl standing but not still. She looks back. ‘Probationary’ was filmed and montaged in Ho Chi Minh City in 2021, just few months before the COVID’s return to the city. Unlike the feature film, the short film does not have dialogue

퀸 동(Quỳnh Đông)의 비디오작,
〈달콤한 크리스마스(Sweet Noel)〉 (2013)


퀸 동의 비디오는 화가 응우옌 지아 트리(Nguyễn Gia Trí)의 〈봄 정원 중, 남, 북 (Spring Garden from the Center, the South and the North)〉을 바탕으로 하는 무대를 구성한다. 응우옌은 동양 옻칠 기법을 동 즈엉 시대 서양 회화와 연계하여 발전시키고 개선한 선구자 중 한 명이다. 자신이 만들어낸 정원이라는 무대에서 작가는 공연하고 노래를 하며 11명의 퀸 동이 되어 앉고, 서고, 기다리고, 눕는 등 다양한 포즈를 취한다. 11명의 퀸 동은 마치 움직이는 조각같이 몸을 가볍게 흔든다.

비디오에 등장하는 작가보다 큰 사이즈의 꽃 이미지로 채워진 화면은 인공적이고 디지털적인 매체의 평면성과 화려함을 보여주는데, 영상의 이런 특징은 여러 겹의 옻칠을 올리고 광내기 작업을 통해 거울처럼 완성된 응우옌의 옻칠 회화의 표면과도 연결 지어 볼 수 있다. 작가는 베트남 전통 의상인 아오자이를 입은 응우옌의 그림 속 소녀 이미지를 차용함으로써 베트남과 아시아 여성에 대한 고정 관념에 질문을 던진다.

분홍색 아오자이 차림으로 등장하는 〈달콤한 크리스마스〉 속 11명의 퀸 동은 볼레로 형식의 음악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끈 하이 무아 노엘(Hai mùa Noel)을 부르는 작가의 목소리와 함께 마치 11개의 꽃잎같이 부드럽고 우아하게, 느리게 움직인다.







QUYNH ĐÔNG’s video
SWEET NOEL 2013


Quỳnh Đông’s video creates a stage based on the painting titled “Spring Garden from the Center, the South and the North” by painter Nguyễn Gia Trí, who is considered one of the pioneers in developing and refining Asian lacquer techniques in connection with Western painting of Đông Dương period. On her stage - garden, Quỳnh Đông performs and sings, and multiplies herself to as many as 11 Quỳnh Đôngs, striking various poses, sitting, standing, waiting, laying down. Her 11 bodies swing lightly like moving sculptures.

The video flat, glossy screen of digital artificiality where blooming flowers outsize human body relates to the mirror like surface of Nguyễn Gia Trí’s lacquer paintings, which was achieved by successively dabbing on and polishing layers of lacquer. By appropriating the image of a girl wearing traditional tunic áo dài in Nguyễn Gia Trí’s painting, Quỳnh Đông questions the steryotype of Vietnamese and Asian women.

11 quỳnh đôngs in pink áo dài are like 11 petals, moving slowly in such a gentle and merciful manner accompanied with her voice singing bolero styled hit Hai mùa Noel

+ CV more Phuong Linh Nguyen

도 반 호앙(Đỗ Văn Hoàng)의 영화
〈수습 기간 (Probationary Period)〉(2021)의 10분 편집본


도 반 호앙(Đỗ Văn Hoàng)의 단편 영화가 시작되며 두 남자 주인공이 서로를 끔찍하게 살해한다. 걷고, 앉고, 서고, 사다리를 오르고, 뒤에서 서로를 찌르는 둘의 모습은 설명 불가해 보이며 잔혹하다. 구체적이고 반복적인 악의 퍼포먼스 무대에서 공연하듯 그들은 서고, 쓰러지고, 죽고, 다시 나타난다. 그들은 그들 자신의 존재에 대해 이해하기 어려운 인내를 보여준다. 영상 속 도시는 젊은이들이 갇혀버린 비좁은 골목과 모퉁이로 이루어진 미로로 표현됐다. 작업복을 착용한 노동자들은 생산과 소비라는 행위를 실천하는 인간을 기념하는 행진을 하듯 함께 걷는다. 영상에는 길거리에 서 있는 여성도 한 명 등장하는데 그녀는 가만히 서 있지 않는다. 뒤를 돌아본다. 〈수습 기간〉은 2021년, 코로나19가 호치민에서 다시 유행하기 몇 달 전 촬영 및 몽타주 편집되었다. 장편 영화와 달리 본 단편작에는 대사나 대화가 없다.



ĐỖ VĂN HOÀNG’s 10minutes short cut
from his film PROBATIONARY 2021


The male protagonists kill each other violently as Đỗ Văn Hoàng’s short film begins. They appear unexplainable and brutal in their walking, sitting, standing, climbing up the stairs, and stabbing each other from behind. They stand and collapse, die and reappear as though in a precise and iterated  performance stage of cruelty. They carry an absurd endurance of their being. Indeed, the city is filmed as a labyrinth of narrow lanes and corners where the young men got trapped. The workers in their uniforms walk together as though in a march celebrating human species who produce and consume. There is also a girl standing but not still. She looks back. ‘Probationary’ was filmed and montaged in Ho Chi Minh City in 2021, just few months before the COVID’s return to the city. Unlike the feature film, the short film does not have dialogue









퀸 동(Quỳnh Đông)의 비디오작,
〈달콤한 크리스마스(Sweet Noel)〉 (2013)


퀸 동의 비디오는 화가 응우옌 지아 트리(Nguyễn Gia Trí)의 〈봄 정원 중, 남, 북 (Spring Garden from the Center, the South and the North)〉을 바탕으로 하는 무대를 구성한다. 응우옌은 동양 옻칠 기법을 동 즈엉 시대 서양 회화와 연계하여 발전시키고 개선한 선구자 중 한 명이다. 자신이 만들어낸 정원이라는 무대에서 작가는 공연하고 노래를 하며 11명의 퀸 동이 되어 앉고, 서고, 기다리고, 눕는 등 다양한 포즈를 취한다. 11명의 퀸 동은 마치 움직이는 조각같이 몸을 가볍게 흔든다.

비디오에 등장하는 작가보다 큰 사이즈의 꽃 이미지로 채워진 화면은 인공적이고 디지털적인 매체의 평면성과 화려함을 보여주는데, 영상의 이런 특징은 여러 겹의 옻칠을 올리고 광내기 작업을 통해 거울처럼 완성된 응우옌의 옻칠 회화의 표면과도 연결 지어 볼 수 있다. 작가는 베트남 전통 의상인 아오자이를 입은 응우옌의 그림 속 소녀 이미지를 차용함으로써 베트남과 아시아 여성에 대한 고정 관념에 질문을 던진다.

분홍색 아오자이 차림으로 등장하는 〈달콤한 크리스마스〉 속 11명의 퀸 동은 볼레로 형식의 음악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끈 하이 무아 노엘(Hai mùa Noel)을 부르는 작가의 목소리와 함께 마치 11개의 꽃잎같이 부드럽고 우아하게, 느리게 움직인다.



QUYNH ĐÔNG’s video
SWEET NOEL 2013


Quỳnh Đông’s video creates a stage based on the painting titled “Spring Garden from the Center, the South and the North” by painter Nguyễn Gia Trí, who is considered one of the pioneers in developing and refining Asian lacquer techniques in connection with Western painting of Đông Dương period. On her stage - garden, Quỳnh Đông performs and sings, and multiplies herself to as many as 11 Quỳnh Đôngs, striking various poses, sitting, standing, waiting, laying down. Her 11 bodies swing lightly like moving sculptures.

The video flat, glossy screen of digital artificiality where blooming flowers outsize human body relates to the mirror like surface of Nguyễn Gia Trí’s lacquer paintings, which was achieved by successively dabbing on and polishing layers of lacquer. By appropriating the image of a girl wearing traditional tunic áo dài in Nguyễn Gia Trí’s painting, Quỳnh Đông questions the steryotype of Vietnamese and Asian women.

11 quỳnh đôngs in pink áo dài are like 11 petals, moving slowly in such a gentle and merciful manner accompanied with her voice singing bolero styled hit Hai mùa Noel

+ CV more Phuong Linh Nguyen

2021.10.12 5 GLOBAL CURATORS

2021.10.12 5 GLOBAL CURATORS

아이-나 푸유타논 (I-na Phuyuthanon)
1984년 태국 얄라 출생
태국 방콕 거주 및 활동


아이-나 푸유타논(I-na Phuyuthanon)은 인구의 대다수가 이슬람교도인 태국의 최남단 3개 주 파타니(Pattani), 얄라(Yala), 나라티왓(Narathiwat)의 사회적 이슈와 부당함을 다루는 비디오 작업으로 알려진 작가다. 작가는 해당 지역의 인종과 종교 관련 분쟁과 폭동에 주목하는데, 계속되는 충돌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많은 주민은 관계 당국으로부터 분리주의자이며 반란에 가담했다는 혐의를 받는다. 고향에서 삼촌이 총격으로 사망하는 사건을 목격한 작가는 마을 주민들을 이런 분쟁의 희생양이자 피해자로 그려내며 영상 작업을 통해 그들의 투쟁과 죽음에 대한 슬픈 이야기를 전하는데, 그중 하나인 〈반란의 치욕스러운 피해자들의 기억(The Reflections of the Stigmatic Victims of the Insurgencies, 2017)〉은 수많은 남성이 체포되었던 얄라의 한 작은 마을에서의 삶을 아주 가까운 이의 시선으로 그려낸다.

하모니밀리터리(HARMONIMILITARY, 2020)라는 작품에서 푸유타논은 많은 주민들이 신앙을 갖고 신이 그들에게 내린 시험과 신의 뜻을 받아들이는 위험한 지역의 마을에서 생존하고 살아가는 방법을 찾는다. 이 작품에서 작가는 지역 마을의 문화와 자연의 아름다움을 영상에 담아 해당 지역을 새롭게 조명한다. 밝은 녹색의 가운을 입은 채 파타니의 평온한 풍경을 거니는 비현실적 모습의 무슬림 여성으로 분한 작가는 시장, 모스크, 학교, 고무 공장, 찻집 등에 등장한다. 푸유타논에게 있어 예술은 사회의 부조리, 불평등, 그리고 불관용과 타협할 수 있는 카드로 작용한다. 인류는 삶의 융합이 평화롭게 더불어 살아가는 다양한 문화와 신념의 모습의 형태로 축적되는 것에서 비롯된다. 예술적 소통은 부드러움을 나타내고 사회 안에서 사람들에 대한 이해를 만들기도 한다. 푸유타논의 비디오 작업은 여러 지역 및 국제 전시에서 상영되었으며, 가장 최근에는 제2회 방콕아트비엔날레 (태국, 2020)와 광주비엔날레 (한국, 2018),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일함 갤러리(Ilham Gallery)의 《파타니 세마사(Patani Semasa)》전 (2018), 그리고 태국 치앙마이 현대미술관 MAIIAM (2017)에서 선보였다.







I-na Phuyuthanon
b. 1984, Yala, Thailand
Lives and works in Bangkok, Thailand


I-na Phuyuthanon is an artist known for her video works addressing social issues and injustices in the three southernmost provinces of Thailand — Pattani, Yala, and Narathiwat — where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are Muslims. She focuses on ongoing conflicts and violences related to ethnic and religious insurgencies that affect the people’s daily lives; Many villagers are allegedly accused by authorities of being separatists and seen as part of the insurgency. As a witness of her uncle being shot down in her hometown, she portrays villagers as scapegoats and victims and tells depressing stories of struggle and death in her video works, such as The Reflection of the Stigmatic Victims of the Insurgencies (2017), which presents an intimate perspective on life in a small village in Yala where many men have been arrested.

In HARMONIMILITARY (2020), Phuyuthanon finds a way to survive and live in dangerous areas where many villagers assent to religious beliefs and accept wills and tests of God bestowed upon them. Through the work, she presents the areas in a new dimension by capturing the beauty of the culture and nature of the local village; Seen as a ghostly Muslima dressed in a long light green gown wandering in a serene landscape of Pattani, she appears in the markets, mosques, schools, rubber plants, and tea houses. For her, art can be used to negotiate with the injustice, inequality, and intolerance in society. Humanity arises from the fusion of living accumulating into various cultures and beliefs that live together in peace. Artistic communication can also show tenderness and create an understanding of people in society. Phuyuthanon’s video works have been presented in local and international group exhibitions, most recently including the 2nd Bangkok Art Biennale, Thailand (2020); Gwangju Biennale, Republic of Korea (2018); Patani Semasa, Ilham Gallery, Kuala Lumpur, Malaysia (2018); and MAIIAM Contemporary Art Museum, Chiang Mai, Thailand (2017). – Manuporn Luengaram

프라팟 지와랑산 (Prapat Jiwanrangsan)
1979년 태국 방콕 출생
태국 방콕 거주 및 활동


영국 왕립예술대학(Royal College of Art; RCA)을 졸업한 프라팟 지와랑산(Prapat Jiwarangsan)은 다양한 매체와 사진, 슬라이드, 비디오 등의 기록물을 작업에 활용하는 예술가이자 영화감독이다. 그는 사진, 슬라이드, 비디오 등을 세세히 살피고 이를 재구성하여 태국의 국수주의, 역사, 기억, 그리고 정치 간의 관계를 탐구하고 드러낸다. 최근 몇 년 동안 작가는 이주와 고국을 떠난 이주 노동자들의 경험으로 관심을 돌리고 주목해왔다. 지난 6년간 그는 동남아시아 지역의 이주 노동자들이 마주하는 문제를 다루는 작품 연구와 제작을 진행했다. 지와랑산의 설치와 단편 영화는 여러 국제 단체 전시에 출품된 바 있는데, 최근 참여 전시로는 태국 치앙마이 현대미술관(MAIIAM)의 《DIASPORA: Exit, Exile, Exodus of Southeast Asia》전 (2018), 2019 싱가포르비엔날레 《올바른 방향으로의 걸음(Every Step in the Right Direction)》이 있고, 제47회 로테르담국제영화제(네덜란드, 2018)와 제27회 어니언시티 실험 영화 페스티벌(미국 시카고, 2016) 등의 영화제에도 참가하였다.

2020년에는 싱가포르 난양공대 현대미술센터(NTU Center of Contemporary Art)에서 주최하는 3개월 아티스트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싱가포르 사창가에서 일하는 태국 출신의 이주 성 노동자 플로이(Ploy)에 대한 영상 및 설치 프로젝트를 발전시켰다. 이주 노동자의 일기로부터 영감을 받은 지와랑산은 〈플로이(Ploy)〉(2020) 라는 제목의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는데, 해당 작품은 싱가포르 풍경에 대한 관찰과 회화, 사진, 포토 로망(포토 소설), 35mm 슬라이드 영사, 편지, 식물 표본 등 시각적 요소의 병치와 콜라주를 통해 이주 노동자들의 삶을 살펴본다. 시각적 매체의 배열을 통해 플로이의 여정을 재구성한 해당 영상 작업은 2021 베를린국제영화제 포럼 익스팬디드(Forum Expanded) 부문에 초청되어 상영되었다.







Prapat Jiwarangsan
b. 1979, Bangkok, Thailand
Lives and works in Bangkok, Thailand


Having graduated from the Royal College of Art (RCA), Prapat Jiwarangsan is an artist and filmmaker whose work incorporates a variety of media and archival materials, especially photos, slides, and videos, which he peruses and reconfigures to investigate and represent the relationships between nationalism, history, memory, and politics in Thailand. In recent years, he has turned his focus to the theme of migration and the experience of migrant workers outside of their home countries. He spends the last six years researching and making artworks that tackle the issues faced by migrant workers in Southeast Asia. His installations and short films have been included in international group exhibitions, most recently such as DIASPORA: Exit, Exile, Exodus of Southeast Asia at MAIIAM Contemporary Art Museum, Chiang Mai, Thailand (2018); Every Step in the Right Direction at Singapore Biennale 2019,  as well as festivals, such as the 47th International Film Festival Rotterdam, Netherlands (2018), and the 27th Onion City Experimental Film and Video Festival, Chicago, United States (2016).

In 2020, Jiwarangsan participated in a three-month artist residency at NTU Center of Contemporary Art Singapore and developed his film and installation project around Ploy, a Thai migrant sex worker who works in Singapore’s jungle brothel. Inspired by the diary of the migrant worker, he produces a documentary entitled Ploy (2020) that explores the lives of migrant workers through an observation of Singaporean landscapes and the juxtaposition and collage of visual forms, including painting, photography, photo-roman (photo-novel), 35mm slide projection, letter, and herbarium. The film reconstructs the journey of Ploy through an array of visual media. Ploy is presented at the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Forum Expanded section (2021).

+ CV more Manuporn Luengaram

아이-나 푸유타논 (I-na Phuyuthanon)
1984년 태국 얄라 출생
태국 방콕 거주 및 활동


아이-나 푸유타논(I-na Phuyuthanon)은 인구의 대다수가 이슬람교도인 태국의 최남단 3개 주 파타니(Pattani), 얄라(Yala), 나라티왓(Narathiwat)의 사회적 이슈와 부당함을 다루는 비디오 작업으로 알려진 작가다. 작가는 해당 지역의 인종과 종교 관련 분쟁과 폭동에 주목하는데, 계속되는 충돌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많은 주민은 관계 당국으로부터 분리주의자이며 반란에 가담했다는 혐의를 받는다. 고향에서 삼촌이 총격으로 사망하는 사건을 목격한 작가는 마을 주민들을 이런 분쟁의 희생양이자 피해자로 그려내며 영상 작업을 통해 그들의 투쟁과 죽음에 대한 슬픈 이야기를 전하는데, 그중 하나인 〈반란의 치욕스러운 피해자들의 기억(The Reflections of the Stigmatic Victims of the Insurgencies, 2017)〉은 수많은 남성이 체포되었던 얄라의 한 작은 마을에서의 삶을 아주 가까운 이의 시선으로 그려낸다.

하모니밀리터리(HARMONIMILITARY, 2020)라는 작품에서 푸유타논은 많은 주민들이 신앙을 갖고 신이 그들에게 내린 시험과 신의 뜻을 받아들이는 위험한 지역의 마을에서 생존하고 살아가는 방법을 찾는다. 이 작품에서 작가는 지역 마을의 문화와 자연의 아름다움을 영상에 담아 해당 지역을 새롭게 조명한다. 밝은 녹색의 가운을 입은 채 파타니의 평온한 풍경을 거니는 비현실적 모습의 무슬림 여성으로 분한 작가는 시장, 모스크, 학교, 고무 공장, 찻집 등에 등장한다. 푸유타논에게 있어 예술은 사회의 부조리, 불평등, 그리고 불관용과 타협할 수 있는 카드로 작용한다. 인류는 삶의 융합이 평화롭게 더불어 살아가는 다양한 문화와 신념의 모습의 형태로 축적되는 것에서 비롯된다. 예술적 소통은 부드러움을 나타내고 사회 안에서 사람들에 대한 이해를 만들기도 한다. 푸유타논의 비디오 작업은 여러 지역 및 국제 전시에서 상영되었으며, 가장 최근에는 제2회 방콕아트비엔날레 (태국, 2020)와 광주비엔날레 (한국, 2018),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일함 갤러리(Ilham Gallery)의 《파타니 세마사(Patani Semasa)》전 (2018), 그리고 태국 치앙마이 현대미술관 MAIIAM (2017)에서 선보였다.



I-na Phuyuthanon
b. 1984, Yala, Thailand
Lives and works in Bangkok, Thailand


I-na Phuyuthanon is an artist known for her video works addressing social issues and injustices in the three southernmost provinces of Thailand — Pattani, Yala, and Narathiwat — where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are Muslims. She focuses on ongoing conflicts and violences related to ethnic and religious insurgencies that affect the people’s daily lives; Many villagers are allegedly accused by authorities of being separatists and seen as part of the insurgency. As a witness of her uncle being shot down in her hometown, she portrays villagers as scapegoats and victims and tells depressing stories of struggle and death in her video works, such as The Reflection of the Stigmatic Victims of the Insurgencies (2017), which presents an intimate perspective on life in a small village in Yala where many men have been arrested.

In HARMONIMILITARY (2020), Phuyuthanon finds a way to survive and live in dangerous areas where many villagers assent to religious beliefs and accept wills and tests of God bestowed upon them. Through the work, she presents the areas in a new dimension by capturing the beauty of the culture and nature of the local village; Seen as a ghostly Muslima dressed in a long light green gown wandering in a serene landscape of Pattani, she appears in the markets, mosques, schools, rubber plants, and tea houses. For her, art can be used to negotiate with the injustice, inequality, and intolerance in society. Humanity arises from the fusion of living accumulating into various cultures and beliefs that live together in peace. Artistic communication can also show tenderness and create an understanding of people in society. Phuyuthanon’s video works have been presented in local and international group exhibitions, most recently including the 2nd Bangkok Art Biennale, Thailand (2020); Gwangju Biennale, Republic of Korea (2018); Patani Semasa, Ilham Gallery, Kuala Lumpur, Malaysia (2018); and MAIIAM Contemporary Art Museum, Chiang Mai, Thailand (2017). – Manuporn Luengaram







프라팟 지와랑산 (Prapat Jiwanrangsan)
1979년 태국 방콕 출생
태국 방콕 거주 및 활동


영국 왕립예술대학(Royal College of Art; RCA)을 졸업한 프라팟 지와랑산(Prapat Jiwarangsan)은 다양한 매체와 사진, 슬라이드, 비디오 등의 기록물을 작업에 활용하는 예술가이자 영화감독이다. 그는 사진, 슬라이드, 비디오 등을 세세히 살피고 이를 재구성하여 태국의 국수주의, 역사, 기억, 그리고 정치 간의 관계를 탐구하고 드러낸다. 최근 몇 년 동안 작가는 이주와 고국을 떠난 이주 노동자들의 경험으로 관심을 돌리고 주목해왔다. 지난 6년간 그는 동남아시아 지역의 이주 노동자들이 마주하는 문제를 다루는 작품 연구와 제작을 진행했다. 지와랑산의 설치와 단편 영화는 여러 국제 단체 전시에 출품된 바 있는데, 최근 참여 전시로는 태국 치앙마이 현대미술관(MAIIAM)의 《DIASPORA: Exit, Exile, Exodus of Southeast Asia》전 (2018), 2019 싱가포르비엔날레 《올바른 방향으로의 걸음(Every Step in the Right Direction)》이 있고, 제47회 로테르담국제영화제(네덜란드, 2018)와 제27회 어니언시티 실험 영화 페스티벌(미국 시카고, 2016) 등의 영화제에도 참가하였다.

2020년에는 싱가포르 난양공대 현대미술센터(NTU Center of Contemporary Art)에서 주최하는 3개월 아티스트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싱가포르 사창가에서 일하는 태국 출신의 이주 성 노동자 플로이(Ploy)에 대한 영상 및 설치 프로젝트를 발전시켰다. 이주 노동자의 일기로부터 영감을 받은 지와랑산은 〈플로이(Ploy)〉(2020) 라는 제목의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는데, 해당 작품은 싱가포르 풍경에 대한 관찰과 회화, 사진, 포토 로망(포토 소설), 35mm 슬라이드 영사, 편지, 식물 표본 등 시각적 요소의 병치와 콜라주를 통해 이주 노동자들의 삶을 살펴본다. 시각적 매체의 배열을 통해 플로이의 여정을 재구성한 해당 영상 작업은 2021 베를린국제영화제 포럼 익스팬디드(Forum Expanded) 부문에 초청되어 상영되었다.



Prapat Jiwarangsan
b. 1979, Bangkok, Thailand
Lives and works in Bangkok, Thailand


Having graduated from the Royal College of Art (RCA), Prapat Jiwarangsan is an artist and filmmaker whose work incorporates a variety of media and archival materials, especially photos, slides, and videos, which he peruses and reconfigures to investigate and represent the relationships between nationalism, history, memory, and politics in Thailand. In recent years, he has turned his focus to the theme of migration and the experience of migrant workers outside of their home countries. He spends the last six years researching and making artworks that tackle the issues faced by migrant workers in Southeast Asia. His installations and short films have been included in international group exhibitions, most recently such as DIASPORA: Exit, Exile, Exodus of Southeast Asia at MAIIAM Contemporary Art Museum, Chiang Mai, Thailand (2018); Every Step in the Right Direction at Singapore Biennale 2019,  as well as festivals, such as the 47th International Film Festival Rotterdam, Netherlands (2018), and the 27th Onion City Experimental Film and Video Festival, Chicago, United States (2016).

In 2020, Jiwarangsan participated in a three-month artist residency at NTU Center of Contemporary Art Singapore and developed his film and installation project around Ploy, a Thai migrant sex worker who works in Singapore’s jungle brothel. Inspired by the diary of the migrant worker, he produces a documentary entitled Ploy (2020) that explores the lives of migrant workers through an observation of Singaporean landscapes and the juxtaposition and collage of visual forms, including painting, photography, photo-roman (photo-novel), 35mm slide projection, letter, and herbarium. The film reconstructs the journey of Ploy through an array of visual media. Ploy is presented at the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Forum Expanded section (2021).

+ CV more Manuporn Luengaram

2021.10.13 5 GLOBAL CURATORS

2021.10.13 5 GLOBAL CURATORS

싱가포르
Singapore

크레이 첸 (Kray Chen)

문화적 정체성과 “중국성(Chineseness)”에 대한 개념을 둘러싼 질문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출발한 크레이 첸(Kray Chen)의 싱가포르 테오추 오페라 연구는 〈오페라 그린(Opera Green)〉이라는 비디오 퍼포먼스라는 결과물을 도출했다. (테오추는 중국어의 방언이다.) 중국의 전통 오페라 대부분은 가치와 도덕성을 강조하는 고전 서사시와 설화를 바탕으로 한다. 전통 오페라라는 장르를 다룸에 있어 크레이 첸은 이야기에 국한되지 않은, 퍼포먼스의 또 다른 측면을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퍼포먼스라는 예술 형태의 소통적 신호와 전통문화 형태에서의 차별점, 그리고 현대 미술 제작과 기술의 사용이라는 맥락에서 퍼포먼스가 어떻게 나타나는가에 초점을 맞춘다.

코로나19 팬데믹 중에 탄생한 〈오페라 그린〉은 본질적으로 텅 빈 객석을 향한 퍼포먼스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첸은 익숙한 무대를 대신하기 위해 녹색 배경을 사용하고, 오페라라는 예술 형태의 표현과 본질을 상세한 초상으로 나타내고자 퍼포먼스를 세로 화면의 영상에 담아낸다. 관객은 물의 상징이 수놓아진 의복을 입은 학자와 4개의 깃발을 들고 전투복을 입은 전사 등의 등장인물과 함께 중국 오페라의 세계를 접하게 된다. 2채널 비디오 작업에 동시 등장하기도 하는 연기자는 오페라 기준에 부합하는 몸짓, 표정, 스텝을 실행할 뿐만 아니라 고전 레퍼토리에서 벗어난 즉석 퍼포먼스도 선보인다.

〈오페라 그린〉은 관람과 공연의 역학 관계를 재조명하는 조형물을 포함하는 더 큰 규모의 작품의 일부이며, 크레이 첸이 의도한 예술 양식의 변형은 공연 행위 자체에 대한 성찰적 현실을 보다 더 조명하고자 장르의 관습을 타파한다. 이에 더해 현대 사회라는 맥락 속에서 육체와 자아와 정신의 관계를 탐구하며 체험된 경험과 육체의 정치에 호응하는 작가의 작업 방식을 반영한다.







KRAY CHEN

Emerging from his interest in questions surrounding cultural identity and ideas of Chinese-ness, Kray Chen’s research into Teochew opera (a dialect of Chinese) in Singapore resulted in the video performance Opera Green. Much of traditional Chinese opera depicts classical epics and folk tales imbued with values and morality. The artist’s treatment of the genre focusses on another aspect of performance that is not narrative-bound, but rather, the communicative cues of this artform, distinctions in traditional cultural forms and how they translate with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art-making and use of technology.

Creat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Opera Green is essentially an act of performing to an empty audience. Chen utilises a green screen in the work to displace the setting of the conventional stage, and frames the performance in a vertical format as a way of presenting an intimate portrait of the expression and essence of the opera art form. We begin to enter the world of Chinese opera with character tropes, such as “The Scholar” and “The Warrior”, as seen from their respective costumes of the ceremonial robe with water symbols for the former, and the combat garb with four flags for the latter. Seen at times simultaneously in a two-channel video format, the performer executes a set of bodily gestures, facial expressions and foot work that conform to standards in the opera lexicon, as well as improvisations that depart from the classical repertoire.

The work is part of the larger presentation that include sculptures which revisit the dynamics of viewing and performing, and Chen’s intentional translation of the artform removes conventions of the genre in order to illuminate more introspective realities surrounding the act of performance itself.  It is also reflective of his practice that responds to lived experience and body politics,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the self and the psyche with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society.

라벤더 창 (Lavender Chang)

대만 출신으로 싱가포르에서 활동하는 작가 라벤더 창(Lavender Chang)은 폭넓은 주제를 다루는 작업 속에서 시간의 흐름의 미묘함과 뉘앙스를 탐구하는 개념적 사진으로 알려져 있다. 작가는 이미지 제작에 대한 세심함을 영상 작업에도 녹여내는데, 이는 장편 영화 〈알려지지 않은 사랑(A Love Unknown〉(2020)과 2018 로테르담국제영화제 경쟁작 〈그들의 남은 여정(Their Remaining Journey)〉(2018)에 나타난 작가의 최근 촬영술에서도 확인된다.

작가의 영화는 죽음이라는 경험의 복잡성을 다루며, 〈그들의 남은 여정〉은 고인이 된 여배우의 시선을 통해 사람들의 일상을 엿본다. 산 자들의 삶을 관찰하는 방랑하는 영의 관점을 전제로 하는 작품은 망자와 산 자들의 현재진행형 삶에 대한 특별한 이야기를 선보이며 존재와 부재의 관계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영상에는 이목구비가 흐릿하게 처리된 얼굴들이 등장하는데, 이는 작가와 협업한 존 클랭(John Clang)의 작업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모티브로, 클랭의 작품은 관객들로 하여금 자아와 정체성에 대한 개념을 시공간의 다른 자아와 정체성과 비교하여 마주하게 한다.

〈또 한 번의 아침 (그들의 남은 여정) (Another Morning (Their Remaining Journey))〉은 2021 코리아 리서치 펠로우를 위해 기존 작품을 짧게 편집한 버전이다. 일상의 사소함으로 시선을 돌리는 라벤더 창은 더 큰 이야기의 현실을 그리는 과정에서 언급되지 않거나 종종 등한시되는 개인의 역사와 습관의 세세한 부분으로 관객의 이목을 집중시킨다.







LAVENDER CHANG

Taiwan-born and Singapore-based artist Lavender Chang is known for her conceptual photography that explores the subtleties and nuances of time passing, in a wide range of subject matter in her work.  She brings this sensitivity in crafting images to her video practice, most recently seen in her cinematographic work in the feature films A Love Unknown (2020), and Their Remaining Journey (2018), which was part of the Official Selection of International Film Festival Rotterdam 2018.

In the film, the complexities of the experience of mortality are being shown, and Their Remaining Journey provide glimpses into the everyday lives of people, seen through the eyes of a deceased theatre actress. Premised on the perspective of a wondering soul observing the lives of the living, the work presents a unique narrative of lives in transit - both of the dead and the living, opening up questions about the connections between presence and absence. Seen in the film is the obscuration of facial features, a motif known in her collaborator John Clang’s work that prods viewers to confront notions of self and identity in relation to others in time and space.

Another Morning (Their Remaining Journey) is an edited segment of the film for the Korean Exchange Fellow 2021 programme. Shifting the lens to the minutiae of everyday life, Chang draws attention to the much neglected details of personal histories and habits, often unsaid in the framing of reality in terms of grander narratives.

+ CV more Michelle Ho

크레이 첸 (Kray Chen)

문화적 정체성과 “중국성(Chineseness)”에 대한 개념을 둘러싼 질문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출발한 크레이 첸(Kray Chen)의 싱가포르 테오추 오페라 연구는 〈오페라 그린(Opera Green)〉이라는 비디오 퍼포먼스라는 결과물을 도출했다. (테오추는 중국어의 방언이다.) 중국의 전통 오페라 대부분은 가치와 도덕성을 강조하는 고전 서사시와 설화를 바탕으로 한다. 전통 오페라라는 장르를 다룸에 있어 크레이 첸은 이야기에 국한되지 않은, 퍼포먼스의 또 다른 측면을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퍼포먼스라는 예술 형태의 소통적 신호와 전통문화 형태에서의 차별점, 그리고 현대 미술 제작과 기술의 사용이라는 맥락에서 퍼포먼스가 어떻게 나타나는가에 초점을 맞춘다.

코로나19 팬데믹 중에 탄생한 〈오페라 그린〉은 본질적으로 텅 빈 객석을 향한 퍼포먼스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첸은 익숙한 무대를 대신하기 위해 녹색 배경을 사용하고, 오페라라는 예술 형태의 표현과 본질을 상세한 초상으로 나타내고자 퍼포먼스를 세로 화면의 영상에 담아낸다. 관객은 물의 상징이 수놓아진 의복을 입은 학자와 4개의 깃발을 들고 전투복을 입은 전사 등의 등장인물과 함께 중국 오페라의 세계를 접하게 된다. 2채널 비디오 작업에 동시 등장하기도 하는 연기자는 오페라 기준에 부합하는 몸짓, 표정, 스텝을 실행할 뿐만 아니라 고전 레퍼토리에서 벗어난 즉석 퍼포먼스도 선보인다.

〈오페라 그린〉은 관람과 공연의 역학 관계를 재조명하는 조형물을 포함하는 더 큰 규모의 작품의 일부이며, 크레이 첸이 의도한 예술 양식의 변형은 공연 행위 자체에 대한 성찰적 현실을 보다 더 조명하고자 장르의 관습을 타파한다. 이에 더해 현대 사회라는 맥락 속에서 육체와 자아와 정신의 관계를 탐구하며 체험된 경험과 육체의 정치에 호응하는 작가의 작업 방식을 반영한다.



KRAY CHEN

Emerging from his interest in questions surrounding cultural identity and ideas of Chinese-ness, Kray Chen’s research into Teochew opera (a dialect of Chinese) in Singapore resulted in the video performance Opera Green.  Much of traditional Chinese opera depicts classical epics and folk tales imbued with values and morality. The artist’s treatment of the genre focusses on another aspect of performance that is not narrative-bound, but rather, the communicative cues of this artform, distinctions in traditional cultural forms and how they translate with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art-making and use of technology.

Creat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Opera Green is essentially an act of performing to an empty audience. Chen utilises a green screen in the work to displace the setting of the conventional stage, and frames the performance in a vertical format as a way of presenting an intimate portrait of the expression and essence of the opera art form. We begin to enter the world of Chinese opera with character tropes, such as “The Scholar” and “The Warrior”, as seen from their respective costumes of the ceremonial robe with water symbols for the former, and the combat garb with four flags for the latter. Seen at times simultaneously in a two-channel video format, the performer executes a set of bodily gestures, facial expressions and foot work that conform to standards in the opera lexicon, as well as improvisations that depart from the classical repertoire.

The work is part of the larger presentation that include sculptures which revisit the dynamics of viewing and performing, and Chen’s intentional translation of the artform removes conventions of the genre in order to illuminate more introspective realities surrounding the act of performance itself.  It is also reflective of his practice that responds to lived experience and body politics,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the self and the psyche with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society.







라벤더 창 (Lavender Chang)

대만 출신으로 싱가포르에서 활동하는 작가 라벤더 창(Lavender Chang)은 폭넓은 주제를 다루는 작업 속에서 시간의 흐름의 미묘함과 뉘앙스를 탐구하는 개념적 사진으로 알려져 있다. 작가는 이미지 제작에 대한 세심함을 영상 작업에도 녹여내는데, 이는 장편 영화 〈알려지지 않은 사랑(A Love Unknown〉(2020)과 2018 로테르담국제영화제 경쟁작 〈그들의 남은 여정(Their Remaining Journey)〉(2018)에 나타난 작가의 최근 촬영술에서도 확인된다.

작가의 영화는 죽음이라는 경험의 복잡성을 다루며, 〈그들의 남은 여정〉은 고인이 된 여배우의 시선을 통해 사람들의 일상을 엿본다. 산 자들의 삶을 관찰하는 방랑하는 영의 관점을 전제로 하는 작품은 망자와 산 자들의 현재진행형 삶에 대한 특별한 이야기를 선보이며 존재와 부재의 관계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영상에는 이목구비가 흐릿하게 처리된 얼굴들이 등장하는데, 이는 작가와 협업한 존 클랭(John Clang)의 작업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모티브로, 클랭의 작품은 관객들로 하여금 자아와 정체성에 대한 개념을 시공간의 다른 자아와 정체성과 비교하여 마주하게 한다.

〈또 한 번의 아침 (그들의 남은 여정) (Another Morning (Their Remaining Journey))〉은 2021 코리아 리서치 펠로우를 위해 기존 작품을 짧게 편집한 버전이다. 일상의 사소함으로 시선을 돌리는 라벤더 창은 더 큰 이야기의 현실을 그리는 과정에서 언급되지 않거나 종종 등한시되는 개인의 역사와 습관의 세세한 부분으로 관객의 이목을 집중시킨다.



LAVENDER CHANG

Taiwan-born and Singapore-based artist Lavender Chang is known for her conceptual photography that explores the subtleties and nuances of time passing, in a wide range of subject matter in her work.  She brings this sensitivity in crafting images to her video practice, most recently seen in her cinematographic work in the feature films A Love Unknown (2020), and Their Remaining Journey (2018), which was part of the Official Selection of International Film Festival Rotterdam 2018.

In the film, the complexities of the experience of mortality are being shown, and Their Remaining Journey provide glimpses into the everyday lives of people, seen through the eyes of a deceased theatre actress. Premised on the perspective of a wondering soul observing the lives of the living, the work presents a unique narrative of lives in transit - both of the dead and the living, opening up questions about the connections between presence and absence. Seen in the film is the obscuration of facial features, a motif known in her collaborator John Clang’s work that prods viewers to confront notions of self and identity in relation to others in time and space.

Another Morning (Their Remaining Journey) is an edited segment of the film for the Korean Exchange Fellow 2021 programme. Shifting the lens to the minutiae of everyday life, Chang draws attention to the much neglected details of personal histories and habits, often unsaid in the framing of reality in terms of grander narratives.

+ CV more Michelle Ho

2021.10.14 5 GLOBAL CURATORS

2021.10.14 5 GLOBAL CURATORS

인도네시아
Indonesia

나타사 톤테이(Natasha Tontey)

동료들이 톤테이라 부르는 작가 나타사 톤테이(Natasha Tontey)는 다양한 소재와 함께 잘 알려지지 않은 인도네시아 신세대의 시각을 반영하는 새롭고 독창적인 작업 방식을 택한다. 패션을 예술적 요소로 활용하며, 장소 특정적이고 관계 미학적인 작업을 할 뿐만 아니라 신랄하고 때로는 선동적인, 또 평범하기도 하고 기괴하기도 한 퍼포먼스 작업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인도네시아 신도시사회의 금기, 종교, 사회적 행동, 성별 수행성 등 다양한 사회적 이슈에 대해 비판한다. 톤테이는 동시대 작가들마저 깊게 다루지 않는 매체를 탐구하거나 해체함에서도 탁월함을 보이는데, “내 몸/자아의 연장선으로 존재하는, 이미 나의 일부”라고 표현한 인터넷, SNS, 가상 공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작가는 다크웹 같은 새로운 영역도 탐구하며 예로 인터넷 그 자체의 새로운 개방 공간을 드러내는 매체와 그것이 어떻게 분산화되었는지를 살펴본 실험작인 《신형식.양파(NeoFormal.Onion)》가 있다. 작가는 우리가 알고 있는, 기업이 구축한 주류 디지털 세계 밖에서 연결과 창조를 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 또한 제안한다. 똔테의 작업은 재미있고 엉뚱하며 종종 도발적인 방법으로 관객이 새로운 것, 낯선 것, 그리고 미지의 것을 수용하도록 도전장을 던진다.







Natasha Tontey

Natasha Tontey, or Tontey, the way she is familiarly called by peers, works with a vast range of materials in her art with new, unique approaches that reflect the often unexplored perspectives of Indonesian new generation – from using fashion as artistic element, site-specific relational-esthetic works, she is also widely known as making edgy – at times subversive, performance works that borderlines between the mundane and the bizarre, while actually making commentaries on Indonesian societal issues like taboos, religion, social behavior, and gender performativity among Indonesia’s new urban societies. She is also keen in exploring or deconstructing new relevant mediums that are still not deeply touched upon by many even from her own contemporaries, like the internet, social media and the virtual space as she once described ‘already a part of myself as an extension of my own body/self’. Tontey explores new territories like the dark web, such as in her work ‘NeoFormal.Onion’, an experiment of the medium that reveals new open spaces of the internet itself and how it has been decentralized and offers new ways to connect and create outside the existing, mainstream corporate-structured digital realm that we know. Tontey’s works challenge the audience to embrace the new, the strange and the unknown – with fun, quirky and often provocative ways.

샤우라 코트루나다(Syaura Qotrunada)

샤우라 코트루나다(Syaura Qotrunada)의 작업은 종종 사회적 비판을 담은 학술 논지와 역사적 분석이 혼합된 것으로 동시대적이며 신세대적인 접근법으로 매체를 실험한다. 작가는 특히 디지털 미디어를 많이 활용하는데, 표현의 매체로써 뿐만 아니라 디지털 미디어 자체를 작품의 주제로 하여 데이터, 콘텐츠 및 아카이브와 결합한다. 샤우라는 학제 간 협업과 실험을 자주 강조하며, 특히 아카이브 영상을 작업에 활용하여 일종의 “탐문적 다큐멘터리” 형식 또한 중요하게 다룬다. 작가는 땅, 정체성, 포스트 식민주의, 그리고 탈식민화에 대한 문제에 깊은 관심을 두고 있으며 민족지학적 역사와 토착성, 그리고 이것들이 인도네시아에서 어떻게 담론이 되며 정치적 정체성으로 진화하는지 흥미롭게 살펴본다. 이러한 작가의 관심은 두 개의 비디오 작에서 뚜렷하게 드러나는데, 첫 번째는 자바섬 대도시에서 자행되는 종교적, 인종적 차별에 대한 집단적 경험에 주목하는 비디오작 〈우주비행사, 가족실, 그리고 꿈의 나라 시민의 지갑 속에 있는 것(Astronauts, Family Room, and What’s Inside the Wallets of Neverland Citizens)〉이며, 두 번째는 식민시대 서파푸아의 모습을 담은 아카이브 사진을 재구성하여 식민주의, 인종, 민족지학, 그리고 정체성 정치학에 관한 문제를 다룬 비디오작 〈그곳에서 가장 뚱뚱한 땅(The Fattest Land at the Fair)〉이다. 샤우라의 작업은 데이터, 디지털 매체, 그리고 지식 생산을 흥미로운 방식으로 탐구하며 ‘디지털 역사가’가 되어가는 작가를 나타낸다







Syaura Qotrunada

Syaura’s works are often a blend of scholarly thesis of social commentaries and historical analysis with contemporary, millennial approaches of medium experimentation – especially digital media, which she incorporates with data, content and archives as not only a medium of representation but also a subject-matter in itself. Her works often emphasizes aspects of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s and experimentations and also a sort of ‘investigative documentary’ approach especially through the usage of archival footages. She is especially intrigued by issues of land, identity, postcolonialism and decolonization, and also ethnographic histories and indigenousness and how they evolve as a discourse and political identity in Indonesia. These are prominently present in her video works “Astronauts, Family Room, and What’s Inside the Wallets of Neverland Citizens” which focuses on the collective experience of religious and racial discrimination in Java’s big cities, and “The Fattest Land at the Fair”, Syaura addresses issues of colonialism, race, ethnography and identity politics by recreating archival photos of footages of colonial West Papua. Syaura’s works represent the becoming of an artist as a ‘digital historian’ with various intriguing ways of exploring data, digital media and knowledge production.

+ CV more Farah Wardani

나타사 톤테이(Natasha Tontey)

동료들이 톤테이라 부르는 작가 나타사 톤테이(Natasha Tontey)는 다양한 소재와 함께 잘 알려지지 않은 인도네시아 신세대의 시각을 반영하는 새롭고 독창적인 작업 방식을 택한다. 패션을 예술적 요소로 활용하며, 장소 특정적이고 관계 미학적인 작업을 할 뿐만 아니라 신랄하고 때로는 선동적인, 또 평범하기도 하고 기괴하기도 한 퍼포먼스 작업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인도네시아 신도시사회의 금기, 종교, 사회적 행동, 성별 수행성 등 다양한 사회적 이슈에 대해 비판한다. 톤테이는 동시대 작가들마저 깊게 다루지 않는 매체를 탐구하거나 해체함에서도 탁월함을 보이는데, “내 몸/자아의 연장선으로 존재하는, 이미 나의 일부”라고 표현한 인터넷, SNS, 가상 공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작가는 다크웹 같은 새로운 영역도 탐구하며 예로 인터넷 그 자체의 새로운 개방 공간을 드러내는 매체와 그것이 어떻게 분산화되었는지를 살펴본 실험작인 《신형식.양파(NeoFormal.Onion)》가 있다. 작가는 우리가 알고 있는, 기업이 구축한 주류 디지털 세계 밖에서 연결과 창조를 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 또한 제안한다. 똔테의 작업은 재미있고 엉뚱하며 종종 도발적인 방법으로 관객이 새로운 것, 낯선 것, 그리고 미지의 것을 수용하도록 도전장을 던진다.



Natasha Tontey

Natasha Tontey, or Tontey, the way she is familiarly called by peers, works with a vast range of materials in her art with new, unique approaches that reflect the often unexplored perspectives of Indonesian new generation – from using fashion as artistic element, site-specific relational-esthetic works, she is also widely known as making edgy – at times subversive, performance works that borderlines between the mundane and the bizarre, while actually making commentaries on Indonesian societal issues like taboos, religion, social behavior, and gender performativity among Indonesia’s new urban societies. She is also keen in exploring or deconstructing new relevant mediums that are still not deeply touched upon by many even from her own contemporaries, like the internet, social media and the virtual space as she once described ‘already a part of myself as an extension of my own body/self’. Tontey explores new territories like the dark web, such as in her work ‘NeoFormal.Onion’, an experiment of the medium that reveals new open spaces of the internet itself and how it has been decentralized and offers new ways to connect and create outside the existing, mainstream corporate-structured digital realm that we know. Tontey’s works challenge the audience to embrace the new, the strange and the unknown – with fun, quirky and often provocative ways.







샤우라 코트루나다(Syaura Qotrunada)

샤우라 코트루나다(Syaura Qotrunada)의 작업은 종종 사회적 비판을 담은 학술 논지와 역사적 분석이 혼합된 것으로 동시대적이며 신세대적인 접근법으로 매체를 실험한다. 작가는 특히 디지털 미디어를 많이 활용하는데, 표현의 매체로써 뿐만 아니라 디지털 미디어 자체를 작품의 주제로 하여 데이터, 콘텐츠 및 아카이브와 결합한다. 샤우라는 학제 간 협업과 실험을 자주 강조하며, 특히 아카이브 영상을 작업에 활용하여 일종의 “탐문적 다큐멘터리” 형식 또한 중요하게 다룬다. 작가는 땅, 정체성, 포스트 식민주의, 그리고 탈식민화에 대한 문제에 깊은 관심을 두고 있으며 민족지학적 역사와 토착성, 그리고 이것들이 인도네시아에서 어떻게 담론이 되며 정치적 정체성으로 진화하는지 흥미롭게 살펴본다. 이러한 작가의 관심은 두 개의 비디오 작에서 뚜렷하게 드러나는데, 첫 번째는 자바섬 대도시에서 자행되는 종교적, 인종적 차별에 대한 집단적 경험에 주목하는 비디오작 〈우주비행사, 가족실, 그리고 꿈의 나라 시민의 지갑 속에 있는 것(Astronauts, Family Room, and What’s Inside the Wallets of Neverland Citizens)〉이며, 두 번째는 식민시대 서파푸아의 모습을 담은 아카이브 사진을 재구성하여 식민주의, 인종, 민족지학, 그리고 정체성 정치학에 관한 문제를 다룬 비디오작 〈그곳에서 가장 뚱뚱한 땅(The Fattest Land at the Fair)〉이다. 샤우라의 작업은 데이터, 디지털 매체, 그리고 지식 생산을 흥미로운 방식으로 탐구하며 ‘디지털 역사가’가 되어가는 작가를 나타낸다



Syaura Qotrunada

Syaura’s works are often a blend of scholarly thesis of social commentaries and historical analysis with contemporary, millennial approaches of medium experimentation – especially digital media, which she incorporates with data, content and archives as not only a medium of representation but also a subject-matter in itself. Her works often emphasizes aspects of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s and experimentations and also a sort of ‘investigative documentary’ approach especially through the usage of archival footages. She is especially intrigued by issues of land, identity, postcolonialism and decolonization, and also ethnographic histories and indigenousness and how they evolve as a discourse and political identity in Indonesia. These are prominently present in her video works “Astronauts, Family Room, and What’s Inside the Wallets of Neverland Citizens” which focuses on the collective experience of religious and racial discrimination in Java’s big cities, and “The Fattest Land at the Fair”, Syaura addresses issues of colonialism, race, ethnography and identity politics by recreating archival photos of footages of colonial West Papua. Syaura’s works represent the becoming of an artist as a ‘digital historian’ with various intriguing ways of exploring data, digital media and knowledge production.

+ CV more Farah Wardani

2021.10.15 5 GLOBAL CURATORS

2021.10.15 5 GLOBAL CURATORS

필리핀
Philippines

키리 달레나 (Kiri Dalena)

키리 달레나(Kiri Dalena)는 필리핀에서 가장 사회 문제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작가 중 한 명으로 그녀의 작업은 필리핀에서의 삶이 제시하는 끊임없는 어려움과 함께 진화해왔다. 작가는 계엄령을 선포했던 마르코스(Ferdinand Marcos) 전 대통령의 독재 정권에 대항한 1970년대 투쟁을 담은 사진 아카이브를 깊이 있게 다룬 작업으로 유명하다. 2008년부터 지금까지 현재진행형인 〈지워진 구호들(Erased Slogans)〉 연작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지워진 구호들〉은 저항과 시민 불복종의 역사에 대한 중요성을 드러낸 대규모 사진 및 설치 작품 시리즈의 시작을 알렸다. 반면 달레나의 영상 작업은 오늘날의 정치적 투쟁에 보다 더 주목한다. 달레나의 영화에는 인권운동가로서, 또 시민의 자유 옹호 활동 참여자로서 작가의 경험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비록 영화 속 등장인물들이 마주한 정치적 현실은 참담하지만, 작가가 품은 연민의 마음이 그들의 절망을 꿰뚫는다. 일반적인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 장치에 매이지 않고 시민의 권리를 박탈당한 이들의 이야기를 담아내는 방법을 모색하는 작가의 제작 능력은 작품 속 대상들이 자신의 이야기 구성에 매개로써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환기적 영상에 드러난다. 작가가 2020년에 완성한 〈알룬시나(Alunsina)〉는 현 정부의 마약과의 전쟁으로 인해 트라우마를 겪고 있는 한 가족과 공동체를 중심으로 하는 영화다. 작품은 집이라는 친근한 공간에서 서서히 이야기를 풀어 가기 시작하는데 아이들이 그림 그리는 모습과 점심 식사 전 그림책을 읽는 모습도 등장하며 따뜻하면서도 때론 저항적인 가사의 자장가가 들리는 낮잠 시간도 화면에 담겼다. 한 걸음 물러나 배경처럼 머무는 작가의 촬영 기법은 환경으로 인해 더욱 더 취약해져 버린 이들의 이야기를 화면에 드러내고 나타나게 한다. 이를 통해 작가는 우리가 종종 그저 또 하나의 뉴스거리로 넘기고자 하는 먼 곳의 현실을 우리의 이야기로 바꾸어 놓는다.







Kiri Dalena

Kiri Dalena is one of the most socially engaged artists in the Philippines, and her work has evolved largely in step with the continuing challenges of living in the Philippines. Dalena is largely known for her work that reached deep into the pictorial archives of the 70s struggle against the Marcos dictatorship during Martial Law, as seen through her body of continuing work entitled Erased Slogans from 2008 to the present. This project gave rise to a series consisting of large photographic and installation work that spoke to the importance of our history of protest and civil disobedience. Her filmmaking, however, hews more closely to present-day political struggles marked by her experience as a human rights activist and her involvement in activities that advocate support for our civil liberties. Despite the grim political realities that foreground her film’s subjects, it is Dalena’s compassion that cuts through such bleakness. Her ability to disengage from the tropes of documentary filmmaking and find ways to speak about the stories of her disenfranchised subjects have been realized in evocative footage where the subjects are allowed agency in how their stories are shaped. Alunsina which she finished in 2020 centers on a family and its community, this time one traumatized by the current government’s war on drugs. Her film unfolds slowly within the intimate setting of a home: around children drawing, afternoon stories shared before lunch, of nap time accompanied by lullabies with words comforting and defiant at turns. Dalena’s skill at withdrawing into the background allows the stories of already vulnerable subjects made even more vulnerable by circumstance, to surface and manifest itself on the screen. She makes intimate for us realities that we often prefer to be just another piece of news.

데렉 투말라(Derek Tumala)

뉴미디어 분야에서 작업하는 데렉 투말라(Derek Tumala)는 예술과 도시성이라는 맥락에서 기술의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해 여러 플랫폼을 아우르며 기술을 사용해온 손에 꼽는 필리핀 작가다. 마닐라 구시가의 건축 구조물을 살펴보기 위해 환경을 창작한 작가의 시도는 구시가지를 해치지 않으면서 도심 환경에 자리한 건축물에 대한 연구를 가능하게 했다. 디지털 매체의 잠재력에 대한 작가의 꾸준한 연구는 오늘날 우리 삶 속에서 우리가 디지털 매체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살펴보도록 이끌었다. 필리핀의 풍성한 식물군에 대한 공공 작품인 투말라의 최근 프로젝트는 다양한 필리핀 고유의 식물이 자라고 있는 숲과 같은 땅의 한 구획을 화면에 옮겨 놓았다. 작품에는 일기 예보 웹사이트에서 전달받은 기후 변화 정보에 반응하는 데이터 기반 알고리즘이 심어져 있다. 날씨의 변화에 따라 화면 속 이미지도 그 색깔과 움직임이 변한다. 기후에 대한 이런 섬세한 언급은 투말라의 작업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요소다. 이번에 포함된 <새로운 사회 크롬 시티(New Society Chrome City, 2018)>는 사회 건설을 다루는 그의 몇 안 되는 비디오 작품이다. 쿵쾅거리는 테크노 음악에 맞춰 사람들이 춤추고 있는 클럽을 배경으로 하는 작품은 푸르스름하고 메탈릭한 효과가 나타나도록 촬영되었는데, 이는 미래적이고 심지어 공상과학적인 환경을 떠올리게 한다. 영상 위로는 중첩되는 문구는 작가가 선별한 것으로 필리핀의 독재자였던 페르디난드 마르코스(Ferdinand Marcos)의 새로운 사회를 구축하자는 제안을 담은 글에서 따온 것이다. 무형이자 실체가 없는 ‘빈민층’에만 호소하는 이분법적 이데올로기로 정의되는 사회에 대한 구식 제안이기는 하나 본래의 맥락에서 분리된 텍스트는 실행 가능할 법한 제안처럼 보인다. 마르코스의 에세이는 결국 은근한 선전이다. 마찬가지로 투말라의 영상 역시 푸른 안개에 싸여 음악에 몸을 맡기고 춤을 추는 사람들이 등장하지만 긍정적인 미래를 제시하지 않는다. 클럽의 배경에는 한자 서예 배너가 걸려있다. 작가에 따르면 <새로운 사회 크롬 시티>는 “먼 미래 중국 통치하의 필리핀을 배경으로 한다”. 투말라는 또다시 식민지가 되어버린 미래의 필리핀 사회를 그리는 것이다.







Derek Tumala

Working within the field of new media, Derek Tumala is one of the few artists who has used technology across multiple platforms in the Philippines to explore its possibilities within the context of art and urbanism. His forays into creating environments to explore architectural structures in the old city of Manila, allowed for the study of buildings against its urban setting without disturbing its site. Tumala’s continued inquiry into the potential of digital media has brought him to look at our use of it in contemporary life. His most recent project, a public work that speaks to the rich flora of the Philippines, is a screen that shows a forest-like patch of land with a variety of plants endemic to the Philippines. The work has an algorithm triggered by data that is responsive to climate fluctuations fed by a weather forecasting site. The image, in turn, shifts in color and movement to reflect the changes in weather patterns. The subtle commentary on climate is characteristic of Tumala’s projects. His work included here, New Society Chrome City (2018) is one of his few video works that look into the construction of society. Set in a club with people dancing against throbbing techno music, the work is filmed to produce a bluish metallic sheen, suggesting a future, almost sci-fi in setting. Layered over is text the artist lifted from Philippine dictator Ferdinand Marcos’ writings from where he proposes a formulation for a new society. Taken out of context, the text appears like a viable, if dated proposal of a society defined by binary ideology that speaks only to an intangible, disembodied “poor”. The essay is essentially thinly veiled propaganda. Likewise, the video is not an optimistic future despite dancers moving languidly to the music while surrounded in a blue haze; the club’s background reveals banners in calligraphic Chinese text. As the artist writes the video is “set in a distant future of Chinese-occupied Philippines”; Tumala sees a future Filipino society, once again colonized.

+ CV more Joselina Cruz

키리 달레나 (Kiri Dalena)

키리 달레나(Kiri Dalena)는 필리핀에서 가장 사회 문제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작가 중 한 명으로 그녀의 작업은 필리핀에서의 삶이 제시하는 끊임없는 어려움과 함께 진화해왔다. 작가는 계엄령을 선포했던 마르코스(Ferdinand Marcos) 전 대통령의 독재 정권에 대항한 1970년대 투쟁을 담은 사진 아카이브를 깊이 있게 다룬 작업으로 유명하다. 2008년부터 지금까지 현재진행형인 〈지워진 구호들(Erased Slogans)〉 연작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지워진 구호들〉은 저항과 시민 불복종의 역사에 대한 중요성을 드러낸 대규모 사진 및 설치 작품 시리즈의 시작을 알렸다. 반면 달레나의 영상 작업은 오늘날의 정치적 투쟁에 보다 더 주목한다. 달레나의 영화에는 인권운동가로서, 또 시민의 자유 옹호 활동 참여자로서 작가의 경험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비록 영화 속 등장인물들이 마주한 정치적 현실은 참담하지만, 작가가 품은 연민의 마음이 그들의 절망을 꿰뚫는다. 일반적인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 장치에 매이지 않고 시민의 권리를 박탈당한 이들의 이야기를 담아내는 방법을 모색하는 작가의 제작 능력은 작품 속 대상들이 자신의 이야기 구성에 매개로써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환기적 영상에 드러난다. 작가가 2020년에 완성한 〈알룬시나(Alunsina)〉는 현 정부의 마약과의 전쟁으로 인해 트라우마를 겪고 있는 한 가족과 공동체를 중심으로 하는 영화다. 작품은 집이라는 친근한 공간에서 서서히 이야기를 풀어 가기 시작하는데 아이들이 그림 그리는 모습과 점심 식사 전 그림책을 읽는 모습도 등장하며 따뜻하면서도 때론 저항적인 가사의 자장가가 들리는 낮잠 시간도 화면에 담겼다. 한 걸음 물러나 배경처럼 머무는 작가의 촬영 기법은 환경으로 인해 더욱 더 취약해져 버린 이들의 이야기를 화면에 드러내고 나타나게 한다. 이를 통해 작가는 우리가 종종 그저 또 하나의 뉴스거리로 넘기고자 하는 먼 곳의 현실을 우리의 이야기로 바꾸어 놓는다.



Kiri Dalena

Kiri Dalena is one of the most socially engaged artists in the Philippines, and her work has evolved largely in step with the continuing challenges of living in the Philippines. Dalena is largely known for her work that reached deep into the pictorial archives of the 70s struggle against the Marcos dictatorship during Martial Law, as seen through her body of continuing work entitled Erased Slogans from 2008 to the present. This project gave rise to a series consisting of large photographic and installation work that spoke to the importance of our history of protest and civil disobedience. Her filmmaking, however, hews more closely to present-day political struggles marked by her experience as a human rights activist and her involvement in activities that advocate support for our civil liberties. Despite the grim political realities that foreground her film’s subjects, it is Dalena’s compassion that cuts through such bleakness. Her ability to disengage from the tropes of documentary filmmaking and find ways to speak about the stories of her disenfranchised subjects have been realized in evocative footage where the subjects are allowed agency in how their stories are shaped. Alunsina which she finished in 2020 centers on a family and its community, this time one traumatized by the current government’s war on drugs. Her film unfolds slowly within the intimate setting of a home: around children drawing, afternoon stories shared before lunch, of nap time accompanied by lullabies with words comforting and defiant at turns. Dalena’s skill at withdrawing into the background allows the stories of already vulnerable subjects made even more vulnerable by circumstance, to surface and manifest itself on the screen. She makes intimate for us realities that we often prefer to be just another piece of news.







데렉 투말라(Derek Tumala)

뉴미디어 분야에서 작업하는 데렉 투말라(Derek Tumala)는 예술과 도시성이라는 맥락에서 기술의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해 여러 플랫폼을 아우르며 기술을 사용해온 손에 꼽는 필리핀 작가다. 마닐라 구시가의 건축 구조물을 살펴보기 위해 환경을 창작한 작가의 시도는 구시가지를 해치지 않으면서 도심 환경에 자리한 건축물에 대한 연구를 가능하게 했다. 디지털 매체의 잠재력에 대한 작가의 꾸준한 연구는 오늘날 우리 삶 속에서 우리가 디지털 매체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살펴보도록 이끌었다. 필리핀의 풍성한 식물군에 대한 공공 작품인 투말라의 최근 프로젝트는 다양한 필리핀 고유의 식물이 자라고 있는 숲과 같은 땅의 한 구획을 화면에 옮겨 놓았다. 작품에는 일기 예보 웹사이트에서 전달받은 기후 변화 정보에 반응하는 데이터 기반 알고리즘이 심어져 있다. 날씨의 변화에 따라 화면 속 이미지도 그 색깔과 움직임이 변한다. 기후에 대한 이런 섬세한 언급은 투말라의 작업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요소다. 이번에 포함된 <새로운 사회 크롬 시티(New Society Chrome City, 2018)>는 사회 건설을 다루는 그의 몇 안 되는 비디오 작품이다. 쿵쾅거리는 테크노 음악에 맞춰 사람들이 춤추고 있는 클럽을 배경으로 하는 작품은 푸르스름하고 메탈릭한 효과가 나타나도록 촬영되었는데, 이는 미래적이고 심지어 공상과학적인 환경을 떠올리게 한다. 영상 위로는 중첩되는 문구는 작가가 선별한 것으로 필리핀의 독재자였던 페르디난드 마르코스(Ferdinand Marcos)의 새로운 사회를 구축하자는 제안을 담은 글에서 따온 것이다. 무형이자 실체가 없는 ‘빈민층’에만 호소하는 이분법적 이데올로기로 정의되는 사회에 대한 구식 제안이기는 하나 본래의 맥락에서 분리된 텍스트는 실행 가능할 법한 제안처럼 보인다. 마르코스의 에세이는 결국 은근한 선전이다. 마찬가지로 투말라의 영상 역시 푸른 안개에 싸여 음악에 몸을 맡기고 춤을 추는 사람들이 등장하지만 긍정적인 미래를 제시하지 않는다. 클럽의 배경에는 한자 서예 배너가 걸려있다. 작가에 따르면 <새로운 사회 크롬 시티>는 “먼 미래 중국 통치하의 필리핀을 배경으로 한다”. 투말라는 또다시 식민지가 되어버린 미래의 필리핀 사회를 그리는 것이다.



Derek Tumala

Working within the field of new media, Derek Tumala is one of the few artists who has used technology across multiple platforms in the Philippines to explore its possibilities within the context of art and urbanism. His forays into creating environments to explore architectural structures in the old city of Manila, allowed for the study of buildings against its urban setting without disturbing its site. Tumala’s continued inquiry into the potential of digital media has brought him to look at our use of it in contemporary life. His most recent project, a public work that speaks to the rich flora of the Philippines, is a screen that shows a forest-like patch of land with a variety of plants endemic to the Philippines. The work has an algorithm triggered by data that is responsive to climate fluctuations fed by a weather forecasting site. The image, in turn, shifts in color and movement to reflect the changes in weather patterns. The subtle commentary on climate is characteristic of Tumala’s projects. His work included here, New Society Chrome City (2018) is one of his few video works that look into the construction of society. Set in a club with people dancing against throbbing techno music, the work is filmed to produce a bluish metallic sheen, suggesting a future, almost sci-fi in setting. Layered over is text the artist lifted from Philippine dictator Ferdinand Marcos’ writings from where he proposes a formulation for a new society. Taken out of context, the text appears like a viable, if dated proposal of a society defined by binary ideology that speaks only to an intangible, disembodied “poor”. The essay is essentially thinly veiled propaganda. Likewise, the video is not an optimistic future despite dancers moving languidly to the music while surrounded in a blue haze; the club’s background reveals banners in calligraphic Chinese text. As the artist writes the video is “set in a distant future of Chinese-occupied Philippines”; Tumala sees a future Filipino society, once again colonized.

+ CV more Joselina Cruz

2021 KOREA RESEARCH FELLOW 10x10
Credits & Copyright
© 2021 Korea Research Fellow 10x10
All Rights Reserved.